사회 사회일반

고용부·항공우주업계 상생협력 '맞손'

고용부, 조선·석유화학·자동차 이어 4번째 협약

고용부 장관 “원·하청 상생 위해 사회적대화 노력”

이정식(왼쪽) 고용노동부 장관이 14일 서울 중구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서 열린 항공우주제조업 상생협력 공동선언식에서 김태형(왼쪽 두 번째) 미래항공 대표, 강구영(왼쪽 세 번째) 한국항공우주산업 대표, 손재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표와 서약서에 서명한 뒤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이정식(왼쪽) 고용노동부 장관이 14일 서울 중구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서 열린 항공우주제조업 상생협력 공동선언식에서 김태형(왼쪽 두 번째) 미래항공 대표, 강구영(왼쪽 세 번째) 한국항공우주산업 대표, 손재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표와 서약서에 서명한 뒤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항공우주 제조 업계도 원·하청 격차 해소를 위해 정부와 손을 잡았다.



고용노동부는 14일 미래항공·한화에어로스페이스·한국항공우주산업(KAI)·경상남도와 서울 중구에 있는 한화그룹 본사에서 ‘항공우주제조업 상생 협력 확산을 위한 공동 선언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이들 기관과 기업은 공동 선언문을 통해 원·하청 협력 체계 구축을 약속했다. 원청 업체는 인력, 근로 조건, 기술력을 협력 업체에 지원하고 협력 업체도 역량을 강화해 원청을 돕는 식이다.

항공우주 제조 업계는 원·하청 상생이 필수적이라고 평가된다. 부품과 소재가 다양하고 협력 업체 대부분이 영세한 탓에 인력난을 겪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정부의 원·하청 상생 노력도 빛을 발하고 있다. 고용부가 이번처럼 상생 협약을 맺은 산업은 조선업, 석유화학 산업, 자동차 산업에 이어 4곳으로 늘었다. 항공우주 제조업 협약의 경우 대부분 관련 업체가 소재한 경남도가 참여한 점이 이례적이다. 경남도는 지역 예산을 추가로 투자해 지역 기업을 살리겠다는 포부다.

이정식 고용부 장관은 이날 선언식에서 “원·하청 상생은 규제나 강제로 해결할 수 없고 자발적인 협력이 관행화될 때 지속 가능하다”며 “중앙 단위에서 이중구조 개선을 위해 중층적인 사회적 대화를 활성화하겠다”고 말했다. 손재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표도 “다양한 영역에서 협력 업체 전문성과 생산성을 높이는 실질적인 방안을 실행하겠다”고 화답했다. 강구영 KAI 사장은 “항공우주 산업 선도 기업으로서 고용부, 지방자치단체, 원청 업체, 협력 업체가 한 팀이 돼 상생을 위해 책임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세종=양종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