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삼성, 반도체 적자 15조 냈는데…노조 "임금 8% 올려라" 갈등 증폭

사측 제시한 2.5%와 괴리 커

DS부문 흑자전환 불투명한데

노조는 쟁의대책위원회 가동

삼성전자 서초사옥. 사진=연합뉴스삼성전자 서초사옥. 사진=연합뉴스




지난해 반도체(DS) 부문 4분기 연속 적자 등 실적 악화를 겪었던 삼성전자가 올해 임금 인상률을 놓고 노사 간 진통을 겪고 있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노사협의회·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과 올해 임금 인상률을 협의하는 과정에서 임금 기본 인상률을 2.5%로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노사협의회는 사용자 위원과 근로자 위원이 참여하고 있다.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은 대표 교섭권을 갖고 있다.



노사협의회는 사측의 제안에 대해 ‘수용 불가’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노사협의회는 5.74%, 노조는 8.1% 임금 인상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진다. 노조는 “회사가 협상에 대한 진정성이 전혀 없다”며 ‘단체행동’을 위한 쟁의대책위원회도 가동했다.

관련기사



사측은 “기본 인상률 2.5%에 개인별로 적용되는 성과 인상률 평균 2.1%를 감안하면 평균 인상률은 4.6%로 결코 낮지 않은 수준”이라며 “특히 사원급 중에서 상위 평가를 받으면 10% 가까이 연봉이 인상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반도체 업황 악화로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에서만 15조 원에 달하는 적자를 냈다. 올해도 파운드리 등 비메모리의 적자 지속으로 반도체 사업의 흑자 전환이 불투명하다. 이런 위기감 탓에 경계현 삼성전자 사장 주재로 긴급 임원회의를 열고 DS 부문 임원들의 올해 연봉을 동결하기로 결정하기도 했다.

삼성전자 내부에서는 적자인 반도체와 흑자인 모바일 부문의 임직원 간에 의견 차가 큰 분위기도 읽히고 있다.

DS 부문 사내 게시판에는 주제와 상관없이 ‘노조 가입 완료’를 뜻하는 ‘노가완’을 제목에 붙이는 등 초과이익성과급(OPI)이 ‘0’인 반도체 직원들의 노조 가입이 증가하고 있다. 반면 다른 사업부에서는 “반도체가 적자인데 OPI 미지급에 대해 격려금을 요구하는 것에 동의하기 어렵다” “8% 임금 인상은 과도한 것 아니냐”는 내용의 게시글이 올라오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올해 물가 인상률, 반도체 경영 여건 등을 고려해 노사가 합리적인 수준에서 임금 협상을 조기에 마무리하고 실적 개선에 힘을 모아야 하는 절실한 시점”이라며 “자칫 임금 인상을 둘러싼 힘겨루기로 경쟁력이 약화할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강해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