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5조 원에 이르는 적자를 내면서 최악의 한 해를 보낸 삼성전자(005930) 반도체(DS) 부문이 기술의 기초가 되는 연구개발(R&D) 분야부터 쇄신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몸집이 커진 연구 조직을 재정비해 효율성을 끌어올려 ‘초격차’ 기술 주도권을 다시 가져오겠다는 전략에서다.
19일 반도체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DS 부문 내 설비기술연구소의 기획·인사 담당 임직원을 DS 부문 내 또 다른 R&D 조직인 반도체연구소로 편입시켰다.
설기연은 삼성 반도체 생산 라인 내 소재·부품·장비(소부장)의 R&D를 담당하는 곳으로 2011년 전사 연구 조직에서 DS 부문으로 편입된 곳이다. 사실상 DS 부문 내에서 2개 축으로 움직이던 R&D 조직의 지원(백오피스) 기능을 하나로 일원화한 셈이다.
현재 반도체연구소와 설기연은 DS 부문의 최고기술책임자(CTO)인 송재혁 삼성전자 사장 산하로 운영되고 있다. 다만 회사가 성장하면서 두 연구소 모두 덩치가 커져 조직이 지나치게 세분화됐다는 지적이 업계 안팎에서 제기됐다. 조직과 인원이 방대해지다 보니 서로의 연구 현황을 공유하기 점점 힘들어지고 성과를 하나로 통합하기도 어려워 R&D 효율성이 떨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업계에서는 이번 통합에 따라 삼성 반도체 R&D의 3대 축인 ‘반도체연구소-설기연-SAIT(옛 삼성종합기술원)’ 간 연구 공유와 소통이 조금 더 유기적으로 이뤄져 초격차 기술 확보가 더욱 수월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삼성전자 DS 부문은 한편 최근 R&D 조직 개편과 함께 세계 각지에 차세대 반도체 기술을 위한 연구 진용을 새롭게 갖췄다. DS 부문은 한국에서 소재부품센터와 차세대공정개발실을 신설했고 미국과 인도에는 각각 3D D램·SSD 연구팀 등을 새롭게 꾸렸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이 같은 내용의 개편에 대해 “회사 내 조직과 인사 변화는 확인이 어렵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