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부산 3·1운동 도운 호주 3인, 3월의 독립운동가로

국가보훈부, 데이비스 등 3인에 애족장 등 추서

마가렛 샌더먼 데이비스의 모습. 사진제공=국가보훈부마가렛 샌더먼 데이비스의 모습. 사진제공=국가보훈부




국가보훈부가 일제강점기 부산진일신여학교의 3·1운동을 도운 호주 선교사 마가렛 샌더먼 데이비스, 이자벨라 멘지스, 데이지 호킹을 3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했다고 29일 밝혔다.

호주 빅토리아주에서 1887년에 태어난 데이비스는 1910년 호주 선교사로 부산에 파견, 부산·경남 지역 최초 근대 여성 교육기관인 일신여학교 교무주임을 지내다 1914년 교장을 맡았다. 이후 1919년 3월 11일 학생들의 만세 시위에 참여해 학생 인솔 및 보호에 앞장서다 일제에 의해 체포된 후 불기소 처분을 받았다. 1940년대 일제가 기독교 학교에도 신사참배를 강요함에 따라 호주 장로회는 일신여학교를 폐교했다. 이에 데이비스는 호주로 귀환했다.

이사벨라 멘지스의 모습. 사진제공=국가보훈부이사벨라 멘지스의 모습. 사진제공=국가보훈부



역시 호주 빅토리아주에서 1856년에 태어난 멘지스는 1891년 호주 선교사로 부산에 파견돼 일신여학교 초대 교장이 됐다. 1919년 3월 10일 일신여학교 학생들이 태극기를 제작할 당시 기숙사 사감을 맡고 있었던 멘지스는 태극기 제작에 필요한 깃대를 제공했다. 이후 동료 교사들의 석방을 위해 노력했고 증거인멸을 위해 태극기를 소각한 일로 일제에 체포돼 기소유예 처분을 받았다.

관련기사



데이지 호킹의 모습. 사진제공=국가보훈부데이지 호킹의 모습. 사진제공=국가보훈부


1888년 호주 빅토리아주 출생의 호킹은 1916년부터 호주 선교사로 부산에 파견, 어린이를 위한 성경학교와 주일학교를 운영하다 1918년부터 일신여학교에서 근무했다. 1919년 3월 11일 학생들에게 만세 시위를 권유하면서 함께 행진했고, 이 때문에 일제에 체포돼 불기소 처분을 받았다.

국가보훈부는 “1919년 3월 11일 일신여학교의 교사와 학생들이 주도한 만세 시위는 부산・경남 지역으로 확대되는 계기가 됐다”며 “시위의 계획과 지휘를 비롯한 전반을 여교사와 여학생들이 주도했다는 점에서 여성 독립운동 분야에 커다란 발자취를 남겼다”고 평가했다. 정부는 데이비스, 멘지스, 호킹에 각각 건국훈장 애족장・건국포장・건국포장을 추서했다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