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막내 딱지’ 뗀 후배 수상하더니…직장인 절반 이상 ‘이직’ 꿈꿨다





직장인 절반 이상이 지난해 한 번 이상 이직을 시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봉이 가장 높은 직군은 의사로 2위인 변호사의 2.5배로 조사됐다.

경력직 이직 플랫폼 블라인드 하이어가 한국 직장인 데이터 5만건 이상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한 번 이상 이직을 시도한 한국 직장인은 전년 대비 5%포인트 증가한 56%로 집계됐다. 직장인 중 이직 시도가 가장 활발했던 연차는 사원(62%)과 대리(60%)였다. 전년 대비 각각 7%포인트, 6%포인트 올랐다. 이어 신입(54%), 과장(53%), 차·부장(40%) 순이었다.



블라인드 하이어 관계자는 "이직 시도는 입사 1년을 기점으로 가파르게 증가해 과장급 이후 주춤하는 양상을 보인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이직 시도가 가장 활발했던 업계는 호텔(69%), 패션(66%), 가구·인테리어(64%)였다. 시도가 가장 저조했던 업계는 통신(41%), 카드(43%), 공기업(44%)이었다.

이직을 시도한 이유로 가장 많이 꼽은 요인은 '회사에서의 성장 가능성'과 '고용 안정'이었다. '보상'과 '워라밸'도 유의미한 요인으로 꼽혔다. 특히 성장 가능성과 고용 안정은 연구 결과 이직 시도와 높은 연관성을 보였다고 블라인드 하이어는 설명했다.

지난해 연봉이 가장 높은 직군은 의사(2억5000만원)로 조사됐다. 이어 변호사(1억원), 약사(9300만원) 순으로 많았다. 연봉이 가장 낮은 직군은 고객 상담원(4200만원), 치과위생사(4300만원), 대학 교직원(4400만원)이었다.

연차별 평균 연봉은 신입 4000만원, 사원 4400만원, 대리 5400만원, 과장 6600만원, 차·부장 8400만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한국 직장인의 평균 연봉은 5600만원, 미국 직장인은 13만달러(한화 약 1억7335만원)로 나타났다.

지난해 직장인들이 가장 많이 검색한 기업은 현대차, 삼성전자였다. 신입은 LG, SK하이닉스, 현대모비스 등 전통적 대기업을 선호했다. 반면 사원 이상에서는 카카오, NAVER, 비바리퍼블리카 등 IT 플랫폼 기업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박동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