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시대를 거치며 촉발된 '집 콕 문화'. 이로 인해 가장 수혜를 입은 곳 중 하나는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업계다. 야외 활동이 제한되다보니 자연스럽게 집에서 OTT를 시청하는 이들이 늘어난 영향이다.
이와 함께 '소셜 데이팅 애플리케이션(앱)' 시장도 활활 타오르고 있다. 오프라인 속 만남이 신통치 않고 두렵지만, 연애를 꿈꾸는 젊은 남녀를 앱 상에서 하나로 묶어주며 만족도를 높여줬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용자가 늘어나는 만큼 유료 서비스 이용이 더디게 증가하면서 실질적으로 수익을 창출하기 쉽지 않아 데이팅 앱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13일 데이터 분석 플랫폼 데이터에이아이에 따르면 한국의 데이팅 앱 지출액은 올해 1월 976만7000달러(약 128억원)로 전년동기대비 11.4% 감소했다. 반면 데이팅 앱 다운로드 수는 올해 1월 기준 118만7000건으로 1년 전에 비해 8% 증가했다.
데이팅 앱을 사용하겠다는 수요는 증가했으나 유료 서비스에 사용한 돈은 오히려 줄어든 것이다. 국내에서는 글로벌 기업인 틴더와 토종 앱으로 분류되는 위피, 글램 등 3개 업체가 시장을 잡고 있다.
세 업체 모두 월간 활성 이용자 수가 10만명이 넘는 것으로 전해진다. 국내 업체들도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며 2020~2022년 큰 폭으로 성장했다.
데이팅 앱 최대 시장인 미국도 앱 지출액이 정체현상을 보이기는 마찬가지. 데이터에이아이의 데이터를 보면 올해 1월 기준 세계 데이팅 앱 지출액은 5억490만8000달러다.
그중 40%가 미국에서 발생한다. 미국의 데이팅 앱 지출액 증가율은 2022년 1월 23.4%에 달했으나 2023년 1월 5.4%, 2024년 1월 6.2%로 한자릿수로 내려왔다.
여론조사업체 퓨리서치센터는 최근 보고서에서 미국 성인의 30%, 30세 미만 성인의 절반 이상이 데이팅 앱을 사용하지만 비용을 지불하고 유료 서비스를 활용하는 비중은 3분의 1에 불과했다고 밝혔다.
데이팅 앱은 유료 서비스 구독료와 광고비 등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데, 이제는 돈을 벌기 쉽지 않아졌다는 뜻이다.
이같은 결과에 뉴욕타임스(NYT)는 "데이팅 앱이 연애하는 삶을 달라지게 했지만, 젊은 사용자들이 돈을 내도록 설득하진 못했다"면서 "시장 점유율로 사실상 업계 전체를 커버하는 매치그룹(틴더 모회사)과 범블이 2021년 이후 시장 가치를 400억달러 이상 잃었다"고 전했다.
또 "2009년 매치그룹과 2014년 범블이 등장했을 때만 해도 월가는 데이팅 앱이 새롭게 창출할 수익에 큰 관심을 보였으나 이제는 이러한 기대감이 사라졌다"고 분위기를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