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불안한 중장년층 고용…"노동경직성 완화로 풀어가야"

경직적 구조에 근속연수 낮아져

임시직 비중 34%…OECD 1위

'허리층' 40대 고용도 감소 이어

고용 유연화해 재취업 쉽게해야

경력단절 감소땐 저출생 해소도


과도한 연공서열식 임금구조와 강력한 정규직 고용 보호 제도가 되레 중장년층의 고용 불안을 키우고 있다는 국책연구기관의 분석이 나왔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지난 20일 이 같은 내용의 ‘중장년층 고용 불안정성 극복을 위한 노동시장 기능 회복 방안’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는 한국과 미국 임금근로자의 근속연수를 비교했다. 한국은 30세에 2.8년(중위값 기준), 40세에 5.3년을 거쳐 40대 후반에 9.9년으로 정점을 찍은 뒤 내림세로 접어든다. 60대에는 1~2년으로 수치가 급감한다. 여성의 경우 40대부터 하락하는 형태다. 특히 모든 연령을 통틀어도 한 직장에서의 근속연수가 5년을 넘지 못했다. 중년 이후로는 같은 직장에서 일하기가 어려움을 보여준다.

미국은 반대다. 미국 남성은 30세(3년)와 40세(5년)를 거쳐 50세(8년), 60세(9년), 70세(11년) 등으로 꾸준히 증가한다. 미국 여성도 마찬가지다. 미국의 고용 불안정성이 클 것이라는 상식과는 정반대의 모습이 나타나고 있는 셈이다.

이는 임시 고용직 비중에서도 드러난다. 한국의 55~64세 근로자 가운데 임시 고용직 비중은 34.4%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1위다. 회원국 평균(8.6%)을 네 배가량 웃돈다. 2위인 일본과 10%포인트 이상 차이가 난다. 남성의 임시 고용 비중은 33.2%, 여성은 35.9%다.





KDI는 중장년층의 고용이 불안한 이유가 연공서열제에 있다고 해석했다. KDI가 OECD의 2019년 데이터를 토대로 근속연수가 10년에서 20년으로 증가할 때 각국의 임금 상승률을 조사한 결과 한국이 15.1%로 OECD 평균(5.9%)보다 크게 높았다. 한요셉 KDI 연구위원은 “한국에서는 정규직 임금의 경직성과 과도한 연공서열형 임금구조가 (기업들의) 중장년 고용 수요 감소를 부르고 있다”며 “미국은 개별 근로자에게 생산성 평가에 기초한 임금을 지급해 해고 유인 자체가 작다”고 지적했다.

강한 정규직 보호도 한몫한다. 한 연구위원은 “해고가 지나치게 어려우면 채용도 감소한다”며 “결과적으로 일부 재직자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비용을 구직자 전반이 부담하게 된다”고 강조했다.

이런 상황을 고려하면 직무급제를 민간으로 확대하고 정규직 고용을 유연화하는 노동 개혁을 서둘러야 한다는 게 KDI의 설명이다. 세부적으로 △대기업·공공 부문 정규직 임금의 연공성 완화 △해고 과정의 예측 가능성 제고 △비정규직의 경우 보호 방안 강화 △고용 안정망 보완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복직과 정규직 일자리로의 재취업만 수월해져도 여성의 경력단절이 크게 감소하고 저출생 문제를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게 한 연구위원의 판단이다. 그는 “미국은 주마다 상황이 다르지만 연방 차원에서는 12주의 무급 육아휴직만 규정하고 있어 전반적으로 일과 가정의 양립 제도가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다”면서도 “그럼에도 노동시장이 유연해 복직이나 재취업이 수월해 출산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상당 부분 상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금처럼 경직된 노동구조에서는 정년 연장의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해석도 덧붙였다. 한 연구위원은 “64세 남성 임금 근로 경험자 중 정년퇴직자 비중은 26%에 그치고 여성은 7%에 불과하다”며 “(현 상황에서의) 정년 연장은 그 혜택이 소수의 근로자에게 집중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40대 고용만 '뚝'…“신산업 적응력 높여야”




경제의 허리층인 40대 취업자 수도 감소하는 모양새다. 가족 부양과 소비, 납세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40대의 고용 불안이 가계 소득 감소와 내수 위축으로 이어져 국가 경제에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내놓은 ‘신(新)고용 취약 계층 40대의 고용 흐름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40대 취업자 수는 626만 명으로 10년 전보다 63만 6000명(9.3%) 줄었다. 2022년과 비교해도 전체 취업자 수가 32만 7000명 늘어나는 동안 40대 취업자 수는 5만 4000명(0.8%) 감소했다. 20대를 제외하고 취업자 수가 줄어든 연령대는 40대가 유일하다.

40대 취업자 수 감소는 특히 남성과 비임금근로자, 제조업 부문에서 두드러졌다. 2018년부터 꾸준히 취업자 수가 줄어든 남성과 달리 여성은 2022년부터 증가 흐름으로 바뀌었다.

40대의 경우 자영업자를 포함한 비임금근로자 비중도 하락했다. 40대 비임금근로자 비중은 2014년 26.5%에서 지난해 20.7%까지 떨어졌다. 40대 취업자의 산업별 분포를 살펴보면 제조업은 10년 전보다 15만 4000명 줄어든 반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은 11만 2000여 명 늘었다.

관련기사





주된 일자리 외 추가 소득을 위해 부업에 종사하는 40대도 증가했다. 지난해 40대 부업 인구는 9만 8000명으로 코로나19가 본격화한 2020년보다 16.6%(1만 4000명) 늘었다. 임영태 경총 고용·사회정책본부장은 “과거 세대와 달리 40대는 저성장과 산업구조 전환기에 직면하며 고용 안전성을 위협받고 있다”며 “40대를 위한 별도의 일자리 대책과 함께 신산업에 대한 적응력을 높이는 정책적 배려가 필요한 때”라고 강조했다.


세종=심우일 기자·서민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