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상속 꼼수’ 오해 벗는다…LS그룹, RSU 1년 만 폐지

28일 이사회서 RSU 폐지 결정 예정

‘오너 일가의 상속 수단’ 오해도 원인

LS그룹이 오는 28일 이사회에서 RSU 제도 폐지를 결정할 예정이다.사진=LS그룹LS그룹이 오는 28일 이사회에서 RSU 제도 폐지를 결정할 예정이다.사진=LS그룹





LS(006260)그룹이 양도제한 조건부주식(RSU) 제도를 폐지한다. RSU와 관련된 공시 의무화 등 규제 강화에 부담을 느껴 1년 만에 다시 현금 보상 방식으로 원상복귀하게 됐다.

관련기사



24일 업계에 따르면 ㈜LS, LS일렉트릭 등 LS그룹 주요 계열사들은 오는 28일 이사회를 개최하고 RSU 제도 폐지를 결정할 계획이다. RSU는 현금 지급이나 단기 성과에 집중하는 주식매수선택권(스톡옵션)과는 달리 3년~10년 후 주가와 연동해 보상을 지급하는 제도다.

LS그룹은 지난해 RSU를 도입하고 성과보수를 지급 시점을 3년 뒤로 설정했다. LS그룹의 RSU 제도는 임원 선택에 따라 100% 주식이나 100% 주가연동현금으로 받을 수 있도록 정해졌다.

LS그룹이 RSU 제도를 폐지함에 따라 앞으로는 현금으로 성과보수를 받는 기존 방식으로 돌아간다. 올해부터는 성과급이 보수총액에 포함될 예정이다. 지난해 도입한 이 제도를 1년 만에 폐지하는 이유로는 규제 강화 때문으로 분석된다. RSU를 도입하는 기업들이 늘어나자 지난해 말부터 RSU 부여 내역을 알리도록 공시 의무가 생겼다. 최근 RSU가 오너 일가의 승계 수단으로 활용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 LS그룹 관계자는 “최근 불필요한 오해들도 발생하고 관련 규제가 강화되면서 제도를 원복하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허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