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투자의 창] 3월 FOMC는 정말 완화적이었나  

■정용택 IBK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수석연구위원

■정용택 IBK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수석연구위원(상무)■정용택 IBK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수석연구위원(상무)




3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이후 금융시장은 안도하는 분위기가 지배적이다. 지난해 12월 점도표와 마찬가지로 연내 3번의 금리 인하를 유지했고 시장은 이를 연준의 금리 인하 의지가 그만큼 강하다는 것으로 해석하는 듯 하다. FOMC 이후 올해 금리 인하 기대는 6월 시작되고 횟수는 3번으로 더 공고해지는 모습이다. 그러면 과연 이번 FOMC를 시장에서 바라보는 것처럼 완화적이라고 볼 수 있을까?



우리는 시장 평가와 달리 이번 3월 FOMC를 완화적(dovish)이라고 판단하지 않고 있으며 올해 연방준비제도(연준·Fed) 금리 인하는 점도표 평균보다 적은 2회 이하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표면적으로 보면 완화적이라고 볼 수도 있지만 경제전망치를 포함해 3월 FOMC에서 제시된 수치들은 시장에서 기대하는 것만큼 완화적이라고 볼 수 없기 때문이다. 표면적으로는 3번 인하를 유지했지만 단 1표 차이로 올해 금리 인하 횟수가 유지됐을뿐 점도표의 분포는 뚜렷하게 우상향해서 움직인 것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하지만 이보다 더 주목해서 보는 것은 연준의 경제성장률 전망치가 2%를 넘기며 상당히 큰 폭으로 상향 조정됐다는 점이다. 연준 전망치가 2%를 넘기는 것이 의미가 있는 것은 미국 잠재성장률(1.7%~2.0%) 수준을 넘어서기 때문이다. 즉 잠재성장률보다 실제 성장률이 낮은 ‘디플레 갭’을 전망하다가 잠재성장률을 상회하는 ‘인플레 갭’이 발생하는 상황으로 전망이 변했다는 것이다.

과거 미국 경제가 인플레 갭 상황에 있을 때 연준 기준금리 흐름을 보면, 인플레 갭 구간에서도 금리 인하가 이루어지기는 하지만 후반부에 금리 인하가 시작되는 경우이고 실제 금리 인하가 본격화되는 구간은 인플레이션 갭 구간이 아니라 실제 성장률이 잠재성장률을 하회하는 디플레 갭 구간에 이루어진다. 이를 올해 대입해 보면, 올해 미국경제 성장률이 2%를 넘긴다면 금리 인하가 시작될 수는 있지만 시장 참여자들이 기대하는 본격적인 금리 인하는 올해가 아니라 내년 이후로 미루어질 가능성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올해 미국경제 성장률에 대한 시장의 기대치는 1월 1.2% 수준에서 두 달이 되지 않은 상황에서 2.1%로 빠르게 상향 조정되고 있다. 기업실적과 가계소비 여력이 여전히 견조하다는 점 등 지금 미국경제 성장률 전망을 상향 수정하게 하는 요인은 3월 이후 쉽게 소멸되는 요인이 아니다. 이번 3월에 1.4%에서 2.1%로 크게 상향 조정된 경제성장률 전망치가 6월에 추가 상향 조정된다면 여전히 3번의 금리 인하와 6월 금리 인하 시작을 장담할 수 있을까?

인플레 갭이 확대되고 길어질수록 물가 목표에 도달하는 길은 더 요원하고 험난해질 것이란 점을 감안하면 쉽지 않을 것이다. 최근 금융시장 반등은 그만큼 3월 FOMC를 앞두고 불안감이 컸다는 반증일 수 있으나 올해도 연준 통화정책은 가변적이고 불안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현실을 직시할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