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중기·벤처

중기부 ‘정책 컨트롤 타워’…‘전략기획관’ 신설

국내외 기업환경에 대응한 중장기 정책수립과 정책 전반 총괄

조정기능 강화 위해 중기정책관을 중기전략기획관으로 개편





중소벤처기업부는 급변하는 대외환경과 산업전반의 디지털전환과 신산업진출 촉진 등 다가올 미래를 선제적으로 준비하기 위해 기존 ‘중소기업정책관’을 중장기 정책 수립을 전담하는 ‘중소기업전략기획관’으로 개편한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전략기획관 신설은 중소기업, 소상공인, 벤처스타트업 등 정책 대상별로 흩어져 있는 정책들이 하나로 모이고 연결될 수 있도록 기능을 조정해 성과를 극대화하겠다는 중기부의 강력한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조직개편 주요내용을 보면 중소기업전략기획관 하부조직으로 전략총괄과, 전략분석개발과, 대외환경대응과, 중소기업제도과 등 4개 과를 두고 중소·창업벤처·소상공인 정책 및 대응전략을 총괄·조정하도록 했다.



전략총괄과는 글로벌화, 디지털화, 인공지능(AI) 활용 등 소상공인부터 창업벤처, 중기업까지 모두 영향을 주는 전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정책을 수립한다. 또 각 실의 정책을 총괄·조정할 수 있도록 기능을 신설·강화해 급변하는 기업환경 변화에 따른 미래전략 수립·총괄·조정 부서로 운영한다.

관련기사



전략분석개발과는 기존 정책평가분석과 기능에 국내외 정책정보 수집·분석과 정책의제 발굴·개발 및 중장기 정책 개발 기능을 신설해 전략총괄과가 미래 전략·정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뒷받침할 계획이다.

대외환경대응과는 기존 기업환경개선과 기능에 국내외 중소기업 관련 법·제도·정책 변화의 효과분석 및 평가, 글로벌 기업환경 변화 분석 및 대응하는 기능을 신설해 새로운 대내외 기업환경 변화 발생 시 중소기업 대응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신속하게 분석·대응하는 부서다.

중소기업제도과는 중소기업 관련 법·제도 등을 전담하는 부서로 운영한다.

한편, 지역기업정책관의 하부조직인 입지환경개선과를 기업구조개선과로 통합해 운영하고 인력정책과를 지역기업정책관에 이관해 조직체계 효율화를 도모한다.

오영주 장관은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실·국 간 보이지 않는 칸막이는 반드시 해소해야 할 과제”라며 “앞으로 ‘중소기업전략기획관을 중소·창업벤처·소상공인을 망라하는 종합정책 전략·대응 기구로 운영해, 급변하는 글로벌 기업환경 변화와 대응에 따른 중장기 정책·전략을 개발·수립하는 조직으로 운영하겠다”고 말했다.


노현섭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