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라인페이 日 서비스 종료…네이버와 선긋나

4월 30일 종료 예정…경영 통합후 3년만

"경영 환경 변화와 최적 경영 자원 배분 고려"





라인야후가 글로벌 간편 결제 서비스 ‘라인페이’의 일본 서비스를 종료한다. 대만과 태국의 서비스는 유지한다.



라인야후는 라인페이의 일본 서비스를 2025년 4월 30일 종료할 예정이라고 13일 밝혔다. 라인야후는 “라인페이를 둘러싼 경영 환경의 변화와 라인야후 그룹의 최적 경영자원 배분 등을 고려해 일본 내 송금·결제 서비스를 ‘페이페이’로 통합하고 일본 라인페이 서비스를 종료하기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네이버의 자회사였던 라인은 2014년 온라인 결제 및 송금이 가능한 라인페이를 일본 등에서 출시한 후 소프트뱅크 측의 페이페이 및 라쿠텐의 ‘라쿠텐페이’와 경쟁을 벌여왔다. 라인은 결제 편의성과 라인 메신저를 앞세워 이용자 수를 늘려왔다. 지난달 기준 일본 누적 가입자는 4400만 명 이상이다. 반면 페이페이는 2018년 10월 서비스를 시작해 출발은 늦었지만 현재 더 많은 등록자 수(6400만명)를 확보하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현지에서는 “통합 결정이 합리적”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라인야후 역시 “경영 자원의 선택과 집중을 위한 결정”이라는 입장이지만 업계에서는 네이버와 거리를 두는 수순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앞서 일본 총무성은 지난 3월 라인야후가 시스템 업무를 위탁한 네이버에 과도하게 의존해 사이버 보안 대책이 충분하지 않다고 지적하며 ‘네이버와 자본 관계 재검토’를 포함한 경영 체제 개선을 요구하는 행정 지도에 나선 바 있다. 이에 소프트뱅크는 네이버와 50대 50으로 보유하고 있는 라인야후의 중간지주사 A홀딩스 주식을 네이버로부터 매입하려는 중이다.

네이버는 라인야후의 지주회사인 A홀딩스 지분 매각을 포함해 모든 가능성을 열고 소프트뱅크와 협상 중이다. 일본 총무성은 한국 네이버클라우드 위탁사 컴퓨터를 통해 일본 라인 이용자의 개인정보가 유출됐을 가능성이 있다며 7월 1일까지 구체적인 대응책을 담은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요구한 상황이다. 일본 정부는 행정지도에 지분 매각이라는 표현이 없다고 공식적인 입장을 밝혔지만 사실상 일본 정부의 A홀딩스 지분 매각 압력으로 인식되고 있다. 라인야후의 이번 보고서에는 네이버의 지분 매각 관련 내용이 담기지 않을 것으로 전해졌다.


김성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