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스웨덴 싱크탱크 "北 핵탄두 50기 보유…조립땐 90기까지 가능"

中, 2030년 1000기 이상 핵탄두 보유 전망

군사력 편성에 따라 미·러 따라잡을 가능성도

세계 핵무기 보유량. 자료=SIPRI세계 핵무기 보유량. 자료=SIPRI




북한이 보유한 핵탄두 수가 1년 만에 급격하게 늘어나 50기에 달하고 조립 가능한 핵탄두까지 포함하면 최대 90기에 이른다는 주장이 나왔다. 전 세계적으로 핵탄두 수가 감소하는 상황에서 북한에서는 오히려 증가하고 있는 셈이다. 여기에다 중국의 핵탄두 보유량도 눈에 띄게 늘고 있어 사회주의국가들의 군사적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16일(현지 시간) 스웨덴 싱크탱크인 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소(SIPRI)가 공개한 2024년도 연감에 따르면 북한은 올 해 1월 기준으로 핵탄두를 50기 보유해 지난해(30기)보다 20기 늘어난 것으로 추정됐다. SIPRI는 북한이 현재 총 90기의 핵탄두에 도달할 수 있는 충분한 핵분열 물질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했다.

관련기사



SIPRI는 “북한의 작전 가능한 핵무기 보유량에 대한 추정치는 한국(2018년)과 미국(2020년)이 공개한 정보 평가에서 언급한 20~60기 범위 내에 있다”며 “북한은 핵무기에 사용되는 플루토늄을 생산해왔는데 최근 들어서는 핵무기에 사용되는 고농축우라늄(HEU)도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덧붙였다. SIPRI는 2023년도 연감에서 북한이 보유한 핵탄두 수를 30기, 조립 가능한 핵탄두 수를 50~70기로 각각 추정한 바 있다.



미국·러시아 등 전 세계 9개국의 보유 핵탄두 수는 총 1만 2121기로 지난해(1만 2512기)보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SIPRI가 핵 보유국으로 분류한 국가는 미국·러시아·영국·프랑스·중국·인도·파키스탄·북한·이스라엘 등 9개국이다.

세계적인 감소 추세에도 중국의 경우 핵탄두 보유량이 지난해 410기에서 올 해 500기로 늘어났다. SIPRI는 중국이 향후 군사력을 어떻게 편성하느냐에 따라 미국과 러시아를 따라잡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카네기국제평화재단의 핵 전문가인 자오퉁은 “중국이 현재 추세를 지속한다고 가정할 경우 2027년까지 700기 이상, 2030년까지 1000기 이상의 핵탄두를 보유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최성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