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목 확 꺾인 ‘링컨 조형물’…美덮친 ‘최강 폭염’ 얼마나 뜨겁길래

폭염 속 워싱턴 DC 초등학교의 밀랍 조형물 녹아내려

에이브러햄 링컨 전 대통령 밀랍 조형물 원래 모습(왼쪽)과 최근 녹아내린 모습. 컬처럴DC 홈페이지에이브러햄 링컨 전 대통령 밀랍 조형물 원래 모습(왼쪽)과 최근 녹아내린 모습. 컬처럴DC 홈페이지





미국 북동부를 강타한 폭염으로 현지 초등학교에 올해 초 설치된 에이브러햄 링컨(1809∼1865) 전 대통령의 밀랍 조형물이 눈사람처럼 녹아내린 모습이 화제가 됐다.

관련기사



24일(현지시간) 미국 일간 워싱턴포스트(WP) 보도에 따르면 워싱턴DC 개리슨 초등학교 교정에 올해 2월 의자에 걸터앉은 링컨의 모습을 묘사한 높이 6피트(약 1.8m)의 밀랍 조형물이 설치됐다. 미국 남북전쟁(1861∼1865년)과 그 여파에 대한 관심을 높이려는 취지로 제작된 이 조형물은 섭씨 35도 안팎의 기온이 며칠째 이어지자 순식간에 원래 모습이 사라졌다. 조형물을 제작한 예술가 샌디 윌리엄스 4세는 "주변 온도가 화씨 140도(섭씨 60도)에 이르지 않는 한 조각상이 녹지는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다"면서 무더위 때문에 아이스크림 녹듯 조형물이 망가지는 건 상상하지 못했던 일이라고 털어놨다.

해당 조형물의 설치를 지원했다는 현지 비영리 단체 컬처럴DC는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밀랍 조형물의 형상이 변화하는 것을 의도했지만 이처럼 급격한 변화는 예상치 못했다”면서 "이건 기후변화 문제의 심각성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근 미국 북동부와 중서부 지역에선 기록적인 폭염이 이어져 왔다. 미국 기상청(NWS)은 미국 전역에서 약 1500만 명이 폭염 경보, 9000만 명이 폭염 주의보의 영향권에 놓였다고 밝혔으며, 온열질환 환자도 많이 늘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워싱턴DC를 포함한 미 북동부 지역은 위도가 비교적 높고 녹지 비중이 큰 덕분에 그동안 극심한 더위를 상대적으로 덜 겪었으나 올해는 기온이 치솟으면서 주민들이 겪는 고충이 남다른 상황이라고 한다. 뉴햄프셔주 맨체스터 등 미 동북부 일부 지역에선 기온이 예년 이맘때보다 섭씨 기준 15도 가량 오르기도 했다.


박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