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천년을 이어온 옻빛…동아시아 3국3색 '칠기 대전'

◆국립중앙박물관 한일중 특별전

조개·금가루 붙인 걸작 46점 공개

故이건희 회장 기증품 등도 출품

관장 "우호 증진의 계기가 되길"

한 관람객이 9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이건희 기증품인 ‘나전 칠 십장생무늬 이중 농’(가운데) 등 한국 칠기 공예품을 살펴보고 있다.한 관람객이 9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이건희 기증품인 ‘나전 칠 십장생무늬 이중 농’(가운데) 등 한국 칠기 공예품을 살펴보고 있다.




가구 장인들은 오래 전부터 목재를 코팅하기 위해 옻나무에서 채취한 수액을 사용했다. 옻 수액에는 ‘옻산(우루시올)’이라는 성분이 들어있는데 이는 나무가 습기와 병충해에 대해 오랫동안 견디도록 도와준다. 질 좋은 옻이 많이 생산되는 한국과 일본, 중국 동아시아 3국은 수천 년에 걸쳐 다양한 옻칠 기술을 발전시켜왔다.



국립중앙박물관은 9일 한일중 국립박물관 공동특별전 ‘3국3색三國三色)-동아시아의 칠기’ 언론 공개회를 열고 한국과 일본, 중국 등 3국이 소장한 칠기 공예품의 걸작 46점을 공개했다.

3국은 지난 2014년 도쿄 국립박물관에서 열린 ‘동아시아의 꽃, 도자 명품전’을 시작으로 2년 마다 차례로 특정 주제에 맞춘 특별전을 열고 있다. 3국의 호칭은 개최국이 맨 앞에 그리고 차기 개최국이 두 번째 오는 식이다.

이날 김재홍 국립중앙박물관장은 “인고의 시간 속에서 하나의 명품 칠기가 완성되듯이 끝임 없는 교류 속에서 우리 세 나라가 서로를 이해하고 협력을 더욱 강화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원한다”고 이번 행사의 의의를 설명했다.

전시에서 3국의 칠기들은 ‘같은 재료로 다르게 만든’ 고유한 기법을 보여준다. 진주빛이 영롱한 자개를 ‘붙여’ 꾸민 한국의 나전칠기와 함께 금빛 가루를 화려하게 ‘뿌려’ 장식한 일본의 마키에, 조각처럼 무늬를 ‘새긴’ 중국의 조철기가 하나인 듯 셋인 전시회를 만들어냈다.

나전 칠 십장생무늬 이층 농나전 칠 십장생무늬 이층 농


나전 칠 모란·넝쿨무늬 경전 상자나전 칠 모란·넝쿨무늬 경전 상자



한국은 조개나 전복 껍데기를 잘게 부수고 이를 조각조각 붙이는 나전칠기를 독보적으로 발전시켰다. 세밀가귀(細密可貴)로 불리는 고려 나전칠기는 정교한 기술과 품격 있는 아름다움으로 높은 예술성을 인정받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는 전 세계에 여섯 점이 남아 있는 13세기 ‘나전 칠 모란·넝쿨무늬 경전 상자’와 고 이건희 회장의 기증품이기도 한 19세기 ‘나전 칠 십장생무늬 이층 농’ 등이 출품됐다.

관련기사



마키에 칠 연못무늬 경전 상자마키에 칠 연못무늬 경전 상자


기독교 성인이 새겨진 수출용 상자기독교 성인이 새겨진 수출용 상자


반면 일본에서는 옻칠로 무늬를 그리고 그위에 금·은 가루를 뿌린 후 무늬를 갈아내는 기법인 ‘마키에’를 발전시켰다. 8세기에 등장해 고급 공예품으로 귀족들 사이에서 유행했다. 일본 무로마치 시대인 15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마키에 칠 연못무늬 경전 상자’, 16세기 중반 포르투갈과 스페인에 수출하기 위해 만든 ‘기독교 성인이 새겨진 수출용 상자’ 등이 나왔다.

조칠 구름무늬 탁자조칠 구름무늬 탁자


조칠 산수·인물무늬 운반 상자조칠 산수·인물무늬 운반 상자


또 고대부터 명·청대에 이르기까지 수천년의 옻칠 기술을 발전시킨 중국은 특히 조각처럼 새기는 조칠기가 압권이다. 붉은색과 검은색 등을 겹겹이 옻칠한 다음 표면에 조각을 새기는 기법이다. 명나라 시기의 ‘조칠 구름무늬 탁자’, 청나라 건륭제 시기에 만들어진 강렬한 붉은색의 ‘조칠 산수·인물무늬 운반 상자’ 등이 눈길을 끈다. 전시는 9월 22일까지다.

한편 국립중앙박물관은 김재홍 관장이 전일 일본 도쿄국립박물관 후지와라 마코토 관장 및 중국 국가박물관 천리 부관장과 함께 ‘제13회 한일중 국립박물관장회의’를 개최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회의의 주제는 ‘상호 신뢰와 존중’으로, 코로나19 엔데믹 이후 첫 3자 대면회의다.

8일 제13회 한일중 국립박물관장회의 참석자들이 기념촬영 중이다. 왼쪽부터 천리 중국 국가박물관 부관장, 김재홍 국립중앙박물관 관장, 후지와라 마코토 일본 도쿄국립박물관 관장. 사진 제공=국립중앙박물관8일 제13회 한일중 국립박물관장회의 참석자들이 기념촬영 중이다. 왼쪽부터 천리 중국 국가박물관 부관장, 김재홍 국립중앙박물관 관장, 후지와라 마코토 일본 도쿄국립박물관 관장. 사진 제공=국립중앙박물관


회의에서는 지난 2022년 베이징에서 열린 ‘중한일 고대 청동기 전시’에서 중국이 자국 전시에서 한국의 고구려와 발해 기록을 무단으로 삭제한 것에 대한 향후 대책도 논의했다. 김 관장은 “이번 만남이 3국이 긍정적인 문화교류 확산을 통해 믿음을 다지는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최수문기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