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IN 사외칼럼

인도네시아 음악[서우석의 문화 프리즘]    


인도네시아의 음악은 우리 나라에 잘 알려지지 않은 음악이다. 영어권에서는 “gamelan”(가믈란)이라는 별칭으로 알려져 있다. 인도네시아를 오랜 동안 지배했던 네덜란드에게 가믈란은 친밀한 음악이다. 네델란드의 몇몇 대학은 자국 학생들과 인도네시아 태생의 연주자들로 구성된 가믈란 연주단이 있을 정도다. 그 외에 인류학적 관점에서 음악에 관심이 많은 유럽의 몇몇 대학과 미국 서부의 대학에 가믈란 악기 세트와 연주자들이 있다고 한다.

인도네시아의 국토는 1만 7000개가 넘는 섬으로 구성되어 있고, 섬들은 400개가 넘는 화산을 품고 있다. 섬들 간의 동서의 거리(5300km)는 한반도 남북 거리(1100km)의 다섯 배가 될 정도여서, 문화적 통일이 그리 쉽지 않으며 섬 주민들은 해변에 거주하며, 섬 내부 고지대 원주민들은 외부로부터 고립되어 있다. 수도가 있는 자바 섬이 문화의 중심이다.



가믈란의 어원은 인도네시아어의 “gamel”(손으로 다룸)에서 유래된 말이며, 지금은 가믈란 악기를 두들기는 막대기라는 뜻으로도 쓰인다고 한다. 정통적인 가믈란 음악 역시 자바 섬이 중심이다. 가믈란은 특이한 음악이다. 음악이라기 보다는 크고 작은 여러 종소리가 함께 울리는 종소리 음악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외워서 흥얼거릴 수 있는 멜로디가 존재하지 않은 음악이다.

이 종들을 “gong-chime”이라고 부른다. 베트남 북부의 “동선문화”(東山文化, B.C.1000 - B.C.100)의 청동기는 인도차이나, 말레이 반도, 중국, 티벳에 이르기까지 주변 지역에 막강한 영향력을 미친다. 공-차임의 원조인 동선-드럼이 기원전 400년경 인도네시아에 소개된 것으로 전한다.





베트남 국립박물관에 전시된 동선(dongson) 드럼과 2022년에 이를 80% 이상 복제한 드럼베트남 국립박물관에 전시된 동선(dongson) 드럼과 2022년에 이를 80% 이상 복제한 드럼


도입된 악기는 사진과 같은 청동-케틀드럼(bronze kettledrum)이었다. 케틀-드럼은 반구형의 통 위를 가죽으로 덮고 가장자리를 당겨 음높이를 조절하는 북을 통칭하는 악기다. 유럽의 팀파니가 그 좋은 예다.

공-차임 악기는 전쟁 후 퇴각한 적군이 남긴 무기를 녹여 제작한 것이었기 때문에 값 비싼 물건이었다. 금속 악기는 귀족들의 애호품이었고, 금속 자체가 신비의 대상으로 여겨져 공-차임 악기들은 초자연적인 힘을 지닌 신앙의 대상이 된다. 이때 청동을 다루는 대장장이들이 등장하게 되고, 이들의 후손이 지금도 악기를 제작하고 있다.



주요 악기인 Ging과 Gong의 모습주요 악기인 Ging과 Gong의 모습


사진에서 보듯이, 공-차임은 크기와 모습에 있어 차이를 보인다. 한국의 냄비 비슷한 모양도 있고 속이 빈 기둥 모습도 있다. 돌출되어 있는 부분은 막대기 끝으로 두들기는 부분이다. 왼편 “징”에도 돌출부가 있다.

인도네시아 전역은 13-16세기 간에 이슬람화된다. 그 이전의 인도 문화의 유적으로는 자바섬 자카르타 북부의 보로부두르(Borobudur) 불교 사원이 대표적이다. 이 사원 벽면에는 가믈란 연주단 모습이 부조되어 있다.



보로부두르(Borobudur) 사원 전체 모습과 벽면에 조각된 가믈란 연주단보로부두르(Borobudur) 사원 전체 모습과 벽면에 조각된 가믈란 연주단



이슬람의 칼리프가 인도네시아의 대부분을 점령하면서, 가믈란 악기 세트를 가진 지역 귀족들이 권력을 유지하고 있다는 이유로, 가믈란 악기의 연주를 금지시키고 악기를 압수해 땅에 묻어버리는 정책을 편 적이 있었다. 그러나 이에 대한 민중의 반발이 자주 일어나자, 발굴하여 다시 사용하게 허락하기도 했다고 한다. 이처럼 인도네시아의 공-차임의 문화적 전통은 그 뿌리가 강력하다.

관련기사



가믈란 음악은 관광객 코스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관광객들은 악기에 대한 설명을 듣고 직접 연주하는 과정을 즐긴다고 한다. 공-차임은 타악기여서 손가락을 사용하지 않고 연주할 수 있으므로, 연주가 쉽다는 점이 매력적일 것이다. 가믈란에도 활을 사용하는 레밥(rebab)과 취주 악기인 술링(suling)이 있지만 주된 악기는 모두 타악기다. 다음 사진은 가믈란 정식 연주단의 정좌한 모습과 외국 관광객들이 악기를 연주하는 모습이다.



인도네시아 인들의 정식 연주단과 외국인 관광객의 연주 모습인도네시아 인들의 정식 연주단과 외국인 관광객의 연주 모습


공-차임의 조율은 매우 어려우며 전문적인 작업이다. 현악기의 경우 연주자가 직접 조율하지만, 공-차임의 경우 악기의 표면을 부분 부분을 갈아내어 조율해야 한다. 이런 이유로 악기공인 대장장이들은 귀한 대접을 받는다. 이미 사용하고 있는 악기들도 제작 후 10년이 지나면 다시 한번 조율해야 한다고 한다.

공-차임의 음계 설정을 살펴보자. 음계의 설정은 줄의 진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배음(overtone) 인식에서 출발한다. “overtone”은 우리 말로 옮기자면 “위에-있는-음”들이란 뜻이다. “배음” 보다는 “상위음”이 더 적절한 번역일 것이다.

음을 들을 때에 우리의 뇌는 “위에-있는-음”들을 무의식에 담아둔다. 의식에서는 “위에-있는-음”들을 음색으로 전환해 인지하는 것이다. 배음은 우리가 직접 인지하지는 않지만, 존재하는 음이기 때문에 뇌에 각인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무의식에 각인되어 있던 음높이의 관계가 음계 설정의 원칙이 된다. 원시 상태에서 노래를 부를 때에도 이 관계가 표면으로 등장해 음계를 형성하는 단서가 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공-차임 악기는 1, 2, 3번 등의 배음을 만들지 않고 20, 21, 또는 29, 30 ... 등의 높은 곳의 “overtone”만을 만든다. 쇳소리로 들리는 이유다. 배음 분포가 음색이기 때문이다. 공-차임의 음만을 듣는 인도네시아인들에게는 배음의 구조가 뇌리에 담기지 않았을 것이다.

따라서 가믈란 악기들은, 순정조에서 조율의 방법으로 사용하는 1번에서 5번까지의 배음의 진동비, 즉 “1:2”, “2:3”, “4:5”의 비례와는 무관한 조율을 추구할 수 밖에 없게 된다. 그 결과 옥타브를 균등하게 나눈 5-음 음계인 “slendro” 음계와 7-음 음계인 “pelog” 음계를 설정하는 결과를 낳는다. 균등한 음간 거리를 추구하지만, 정확할 수가 없다. 우리의 뇌리에는 그런 균등한 거리의 경험과 기록이 없기 때문이다.

곡은 어떻게 구성할까? 곡의 구성 방법은 크고 작은 여러 공-차임에 따라 규칙이 주어진다. 여기서는 악기 이름들과 구성 방법을 지시하는 전문적인 용어를 피하려고 한다. 전문 용어와 복잡한 설명은 이해에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낮은 소리를 내는 큰 징은 긴 호흡으로 중요한 분절 지점에서 울리고, 높은 음의 차임은 여러 음들이 규칙 없이 연결되는 화려하고 빠른 음-진행을 만든다. 중간 음역과 악기들은 저음역과 고음역 사이에서 자신의 역할을 한다. 간단히 말하면, 낮은 소리일 수록 덜 자주 울리고 높은 소리일 수록 자주 그리고 빠른 속도로 울린다는 뜻이다. 저음역은 가끔 소리를 내고, 높은 고음역은 쉴틈 없이 연주하여 윗쪽은 화려하고 아랫쪽은 든든한 구름 덩어리와 같은 모습을 만드는 것이다. 가믈란 음악은 공중에 떠있는 소리의 구름이라고 말할 수 있다.

가믈란 음악에 대한 설명을 처음 듣는 분이 많을 것이다. 처음 접하는 음악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설명도 중요하지만 직접 음악을 듣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요즈음 인터넷 상에는 정통적인 음악과 멋대로 변형시킨 음악이 섞여 있어서 구별하기가 쉽지 않다. 유투브에서도 마찬가지다. 확실하지는 않겠지만, 이를 구별하는 방법을 안내한다.

“google”이나 “naver”에서 “gamelan java”를 검색한 다음 동영상을 선택하는 사이트가 나타나면, 연주자의 모습과 악기의 정렬이 정통적이라고 느껴지는 동영상을 택해 감상하면 된다. 한 두번 경험하면 정통적인 것과 아닌 것을 구별할수 있을 것이다. 앞서 설명한 균등 간격의 두 음계를 들어 보려면, “pelog”, “slendro”를 검색 후 “wikipedia” 사이트를 선택해 두 음계의 음들을 들을 수 있다.

인도네시아 음악에 대한 설명은 가능한 한 전문적인 용어를 피해 설명하려고 했다. 생소한 단어와 전문 용어는 글을 번잡하게 만들고 이해를 방해하기 때문이다. 이번 기회에 가믈란 음악을 한번 들어 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외부 필진의 기고 내용은 본지의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약력]서울대 명예교수 [저서]시와 리듬(1981, 개정판 2011), 음악을 본다(2009), 세계의 음악(2014) 등 [번역]기호학 이론(U. Ecco, 1984), 서양음악사(D. J. Grout, 1997)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