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 대기에도 미세플라스틱 떠다닌다…"폴리에틸렌이 절반"

검출된 폴리에틸렌(PE)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사진=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검출된 폴리에틸렌(PE)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사진=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포장재나 각종 용기에 사용되는 폴리에틸렌(PE)이 대기에 가장 많이 분포된 미세플라스틱으로 지목됐다.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은 전국 시도 보건환경연구원 최초로 대기 중 미세플라스틱을 분석한 결과를 13일 발표했다. 연구원은 지난해 9월부터 올해 2월까지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에 위치한 연구실 옥상에서 미세먼지 채취 장치로 강우 기간을 제외하고 맑은 날 월 1회(24시간) 시료를 포집했다. 이후 유기물 제거 및 여과 과정을 통해 전처리한 후 라만 분광법을 적용한 분광기를 활용, 머리카락의 10분의 1 크기의 미세플라스틱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5㎛ 이상의 미세플라스틱 평균 개수는 대기 1㎥당 71개였다. 12월 미세플라스틱 평균 개수는 122개로 연중 가장 많았다.

미세플라스틱 종류별 비율(’23.9.~’24.2.). /사진=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미세플라스틱 종류별 비율(’23.9.~’24.2.). /사진=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검출된 미세플라스틱에는 PE, 폴리스타이렌(PS),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PP), 폴리우레탄(PU),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아마이드(PA), 아크릴이 있었다.



이 중 PE의 비율이 46.6%로 가장 높았으며 식품 용기, 컵 등에 사용되는 PS가 뒤를 이었다.

주요 미세플라스틱 검출 비율은 가을(9∼11월)에는 PE>PS>PP 순이었고 겨울(12∼2월)에는 PE>PS>PU 순이었다.

연구원은 미세플라스틱 분석 크기를 1㎛까지 확대하고 봄과 여름철 대기 중 미세플라스틱 모니터링을 통해 계절별 미세플라스틱 발생 특성을 파악할 계획이다.

박주성 보건환경연구원장은 “그간 미세플라스틱 분석은 대부분 해양, 토양 환경에 편중돼 도심 대기 미세플라스틱 조사·연구 결과는 부족한 실정”이라며 “앞으로 대기질에 포함된 미세플라스틱 분석 방법을 표준화하고 생활밀착형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다양한 데이터를 확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연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