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응급실 쏠림은 고질적인 문제…진찰료 올린다고 바뀌지 않아"

[이형민 대한응급의학의사회 회장]

전공의들 이탈로 현장은 번아웃

진료환경 개선없인 개혁 불가능

이형민 대한응급의학의사회 회장이형민 대한응급의학의사회 회장




“본인이 ‘경증’이라고 생각하면서 119 구급차를 타고 응급실을 찾는 환자가 과연 몇 명이나 될까요. 뚜렷한 대안 없이 진찰료를 올린다고 수십 년간 이어져온 응급실 과밀화 문제가 해결되겠습니까.”



이형민(사진) 대한응급의학의사회 회장(일산백병원 응급의학과 교수)은 25일 서울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정부가 내놓은 의료 개혁 방안은 방향을 잘못 잡았다”고 쓴소리를 했다. 의대 정원 증원에 반대하는 전공의들의 집단 사직에 따른 의료 공백이 반년 넘게 이어지면서 전국 곳곳의 대형 병원들은 응급실 운영에 차질을 빚고 있다.

관련기사



이 회장은 “수련병원에 근무하고 있던 응급의학과 전문의가 약 800명, 응급의학과 전공의들은 500명 정도였다. 1300명 중 500명이 빠졌으니 정상적으로 운영될 리가 없지 않느냐”며 한숨을 내쉬었다. 남아 있던 전문의들마저 ‘번아웃’으로 하나둘 병원을 떠나고 있는 와중에 코로나19 재확산까지 본격화하고 있다. 평소보다 환자가 몰리는 추석 연휴를 앞둔 응급의료 현장은 그야말로 벼랑 끝 상황이다.

이형민(가운데) 대한응급의학의사회 회장이 5월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응급의학과 사직 전공의들이 윤석열 대통령께 드리는 글’을 들고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대한응급의학의사회이형민(가운데) 대한응급의학의사회 회장이 5월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응급의학과 사직 전공의들이 윤석열 대통령께 드리는 글’을 들고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대한응급의학의사회


2001년 전공의 수련을 시작해 줄곧 응급의학과 전문의 생활을 이어온 이 회장은 “근 20년간 힘들지 않았던 적은 없었다”고 밝혔다. 원가에도 못 미치는 저수가, 불가항력적 의료 소송 부담 등 왜곡된 의료 시스템 안에서 근근이 버틸 수 있었던 것은 필수의료의 자부심 때문이었다. 그는 “저뿐만 아니라 이른바 ‘바이털과(내과·외과·산부인과·소아청소년과·응급의학과 등)’ 의사라면 비슷할 것”이라며 “환자와 의료진이 신뢰할 수 있는 진료 환경과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조성되지 않는다면 정부가 말하는 의료 개혁은 이뤄질 수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잘못된 시스템을 만들어 놓고 무작정 경증 환자는 오지 말라고 하니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들이 떠안아야 하는 상황”이라며 “근시안적 정책으로는 벼랑 끝에 몰린 응급의료 현장을 회복시킬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당장 눈앞에 닥친 문제를 해결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10년, 20년 앞을 내다보는 의료 정책이 마련돼야 한다”며 “시간이 많지 않다. 더 늦기 전에 현장 의료진들의 의견에 귀 기울여달라”고 호소했다.


안경진 의료전문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