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산업생산 석 달째 감소…낙관론 접고 기업 환경 개선 주력할 때다


반도체·자동차 등의 생산이 주춤하면서 올해 하반기 경기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30일 통계청에 따르면 7월 전(全)산업생산지수는 112.7로 전달보다 0.4% 줄면서 석 달째 감소세를 이어갔다. 3개월 연속 감소는 2022년 8~10월 이후 21개월 만이다. 광공업 생산은 전달보다 3.6% 줄면서 2022년 12월(-3.7%) 이후 19개월 만에 최대 감소 폭을 기록했다. 설비투자는 증가했지만 소매판매와 건설투자 등 내수 지표도 부진했다. 이런데도 정부는 자동차 부품사의 파업, 6월 반도체 생산 호조에 따른 기저 효과 등이 반영된 ‘일시적인 조정’에 불과하다며 낙관론을 펴고 있다.



안이한 상황 인식이 아닐 수 없다. 최근 한국은행과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각각 2.4%, 2.5%로 이전보다 0.1%포인트씩 하향 조정한 바 있다. 기업들의 체감 경기도 꺾이고 있다. 한국경제인협회의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5월부터 상승해오다 9월에는 92.9로 하락세로 돌아섰다. 고금리가 내수 회복의 발목을 잡고 있는데도 집값과 가계부채 불안으로 한은이 10월에도 기준금리를 내리지 못할 수 있다는 비관적 전망까지 나온다. 정부는 건전재정 기조를 유지하느라 대대적인 내수 부양책을 펴기 힘든 상태다. 세계 경기 둔화, 중동 확전 등 대외 리스크가 현실화할 경우 회복 중인 수출이 직격탄을 맞고 물가 상승, 금융 불안 등으로 우리 경제가 복합위기에 빠질 수도 있다.

관련기사



정부는 장밋빛 전망을 접고 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교하고 복합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반도체·자동차 산업의 국제 경쟁력을 유지하되 수출 품목·시장 다변화에 속도를 내야 한다. 여야 정치권은 반도체 투자세액공제를 담은 ‘K칩스법’, 내수 촉진을 위한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등 경제 살리기 법안 처리를 서둘러야 한다. 현행 24%인 법인세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21.2%) 정도로 낮춰 기업 부담을 줄여줘야 한다. 저성장 고착화 위기를 피하려면 규제 혁파, 연금·노동·교육 등 구조 개혁을 통해 고비용 구조를 깨고 기업 하기 좋은 환경을 만드는 것이 정공법이다. 그래야 민간의 투자와 혁신을 유도해 일자리와 소비를 늘리고 성장과 복지의 지속 가능한 선순환 구조를 만들 수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