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배터리·전기차 화재가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떠오른 가운데 화재를 포함해 막대한 인명·재산 손실을 낼 수 있는 각종 사건·사고를 사전에 예방하는 기술을 가진 중소벤처기업들이 주목 받고 있다. 특히 이들이 정부의 연구·개발(R&D) 지원을 받아 관련 기술력을 확보하는데 성공했다는 점에서 꾸준한 R&D 지원 및 확대가 대형 사건 사고로 인한 사회적 손실을 줄이는 차원에서도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4일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엠피아는 사물인터넷(IoT) 기반으로 배선과 건전지가 필요 없는 정온식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정온식 시스템은 일정 온도 이상에 이르렀을 때 작동하는 방식으로 배전반 등에 센서가 부착돼 화재 가능성을 감지한다. 해당 기술은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을 지원받아 개발됐으며 우수성을 인정받아 포스코를 비롯한 다수의 기업에 납품되고 있다.
전기차 화재는 리튬이온배터리 특성상 열폭주가 급속도로 일어나기 때문에 즉각적인 진압이 어렵다. 열폭주란 배터리가 과도하게 충전되거나 내부 온도가 특정 수준 이상으로 오를 때 분리막이 붕괴하면서 순식간에 1000도 이상으로 온도가 치솟는 현상을 말한다. 파이어킴에너지솔루션은 배터리 열폭주를 막을 수 있도록 온도제어 캡슐 파괴 기술을 활용한 배터리 자동소화시스템을 개발했다. 배터리 내부가 일정 온도에 도달하면 소화약제를 자동 분사해 열폭주를 막아 대형화재로 번지는 것을 초기에 진압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해당 기술은 중소벤처기업부 팁스(TIPS) R&D 지원을 통해 개발됐다.
이처럼 중소벤처기업 R&D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보호할 수 있는 다양한 분야의 기술 개발에 힘을 실어주는 추세다. 2차전지 및 전기차 화재는 물론 딥페이크, 보이스피싱 등에 대한 사전 예방 기술로 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R&D 지원이 확대되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중기부는 기획재정부와 협력해 R&D 전문기관인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과 함께 중소기업 제조현장의 안전성 제고를 위한 ‘산업재해예방 기술개발사업’과 다수 기업이 함께 활용할 수 있는 ‘공동효과형 기술개발사업’을 2025년에 신설할 계획이다.
디지털기반 중소제조 산재예방 기술개발사업은 하루 5명에 가까운 산업재해 사망사고를 획기적으로 감소시켜 근로자의 건강과 생명을 보호할 수 있는 R&D 사업으로 기획됐다. 산업 안전센서, 제조자동화 로봇 개발, 디지털 안전 솔루션 등 제조 중소기업 현장에 즉시 적용 가능한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한다. 또한 공동효과형 기술개발은 디지털 전환, 제조공정 개선 등 정보기술(IT) 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일궈낸 R&D 성과물을 다수 기업이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소상공인과 중소기업도 국가 R&D 기술의 혜택을 입으며 디지털 전환에 속도를 낼 수 있도록 R&D 전달 체계를 혁신하겠다는 것이다.
중기부 관계자는 “정부의 중소·벤처기업 R&D 지원이 단순히 기업의 이윤으로만 연결되는 시대는 지났다”면서 “기업의 혁신성장과 기술경쟁력 강화를 통한 글로벌 시장 진출로 국가 경제에 기여하는 것은 물론 범죄 예방, 재난 대응 등 사회문제를 해결함으로써 대한민국 국민 모두가 체감하는 국민 공감형 기술개발 지원으로 점차 진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