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성환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이 25일 “가계부채 상승 모멘텀이 확실하게 둔화할 때까지 (기준금리 인하를) 기다릴 여유는 없다”고 밝혔다.
신 위원은 이날 출입기자단 기자 간담회에서 “우리나라 경제 상황이 그만큼 녹록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내수를 보면 금리 인하의 필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금리 인하의 장애물인 부동산 반등세에 대해서는 조심스러운 태도를 유지했다. 9월 들어 집값 상승과 가계부채 증가세가 둔화한 것과 관련해 “이것이 추세적인지는 10월까지 추가 데이터를 봐야 한다”며 “우려를 덜어주는 방향으로 나오더라도 믿어도 될지 모르겠고, 11월에는 다시 반등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또 “주택은 주식과는 차원이 다른 자산”이라며 “주택가격 상승 모멘텀이 강한 상태에서 금리를 인하하면 주택가격·가계부채 증가 모멘텀을 확대할 수 있고, 이 거품이 국민 경제에 상당한 충격을 주게 된다”고 우려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이달 ‘빅컷(0.5%포인트 인하)’을 단행한 것이 국내 금통위 결정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도 제한적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한국과 미국은 상황이 다르다”며 “미국은 선제적 움직임이었다고 판단한다”고 언급했다. 이어 “우리는 위험이 너무 크게 부각된 상황이어서 선제 조치를 하지 못하는 상황으로 이해해달라”며 “내수적 관점에서 (기준금리 인하가) 후행적이라는 데는 저도 생각을 같이한다”고 덧붙였다.
한은 금통위에서 대표적인 ‘비둘기파(통화 완화 선호)’로 분류되는 신 위원은 이날 간담회에서도 스스로를 ‘비둘기’로 언급했다. 그는 “저도 기본적으로 비둘기인데, 저라고 뭐 기준금리를 내리고 싶지 않겠느냐”며 “개인적으로는 7월 정도에 기준금리를 인하해도 되겠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지난달 금통위에서 기준금리 동결을 결정한 배경으로는 집값 급등과 가계부채 증가세를 꼽았다. 그는 “개인적으로 전혀 예상 못 했는데, 6월부터 집값 급등 신호가 나오기 시작해 7월까지 이어졌다”며 “물가와 내수 관계만 보면 지금 기준금리를 유지할 이유가 없었는데, 집값 급등에 따른 금융 안정 문제가 등장하면서 급하게 브레이크가 걸린 상황”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