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생산·소매판매·건설투자가 동반 감소했다. 특히 생산 부문에서는 반도체를 필두로 한 광공업을 비롯해 건설·서비스업이 모두 약세를 보인 가운데 공공행정만 증가해 민간 내수 부진이 심각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31일 통계청이 발표한 ‘9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산업생산지수는 113.6으로 전월보다 0.3% 감소했다. 전산업생산은 8월 1.3% 상승했지만 이후 1개월 만에 내림세로 전환했다. 반도체가 2.6%나 감소해 광공업이 0.2% 줄어든 영향이 크다. 통계청 관계자는 “시스템반도체와 실리콘 웨이퍼 생산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건설업 생산도 0.1% 위축됐다. 반면 공공행정은 2.6% 늘어 사실상 공공 부문이 생산을 근근이 떠받쳤다는 진단이 나온다.
제품 소비를 보여주는 소매판매액지수도 전월보다 0.4% 줄었다. 1.7% 늘어난 8월 이후 한 달 만에 내림세로 바뀐 것이다. 서비스업 부문의 소비를 가늠할 수 있는 서비스업 생산도 0.7%나 줄어들었다.
건설기성 역시 전달에 비해 0.1% 줄며 5개월 연속 내림세를 나타냈다. 그나마 건설투자 선행지표인 건설수주가 1년 전보다 2.5% 증가하며 4개월 연속 늘어난 것은 긍정적인 요인이다. 반도체 제조용 기계 투자 증가로 설비투자도 8.4% 늘어났다.
3분기 기준 지표로 봐도 생산·소비·건설투자가 부진한 것은 마찬가지다. 올해 3분기 전산업생산은 전 분기와 비교해 0.2% 줄었고 소매판매(-0.5%)와 건설기성(-4.2%)도 감소했다. 다만 설비투자는 10.1% 늘어났다. 기획재정부의 한 관계자는 “3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0.1%로 예상보다 낮아진 가운데 대외 불확실성도 높아져 경기 하방 위험이 커졌다”며 “당초 전망했던 수치(2.6%)보다 성장률이 조금 낮아질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말했다.
다만 가용 정책 수단이 마땅치 않다. 박상현 iM증권 전문위원은 “재정은 이미 올해 쓸 수 있는 여력이 없다”며 “남은 것은 통화정책인데 이 역시 한국은행이 부동산 시장 안정을 확인한 뒤 활용하려는 의지가 있어 한국에서 추가적인 경기 부양책이 나오기는 쉽지 않다”고 짚었다.
경기 부진에 대한 우려로 재정수입 측면에서도 부담이 커지고 있다. 기재부에 따르면 올해 1~9월 국세수입은 총 255조 3000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1조 3000억 원 적었다. 지난해 실적과 관련이 깊은 법인세가 17조 4000억 원 줄어든 탓이 크다. 9월 국세수입 실적도 1년 전보다 1조 9000억 원 모자란 23조 1000억 원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