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中 반도체펀드만 130조…AI칩 주도권 넘본다

공산당 주도 천문학적 자금 투입

기업들 단기간에 기술도약 일궈

추가제재 대비 웨이퍼 생산 15%↑





중국이 반도체·배터리·인공지능(AI) 등의 첨단 분야에서 단기간에 기술력을 끌어올릴 수 있던 원동력은 정부가 끌어주고 민간이 뒷받침하며 ‘원 팀’을 이룬 데 있다. 국가 주도로 정책 방향을 수립하고 인프라 조성, 제도적 지원 등을 통해 환경을 조성했으며 민간 기업들이 경쟁하며 기술 혁신을 이뤄낸 결과물이 기술 굴기로 나타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경제개발의 큰 그림을 5년마다 세우는 중국은 2011년 ‘12차 5개년 규획’을 통해 7대 국가 전략 신흥산업의 육성 방안을 수립했다. 이를 토대로 첨단 산업 분야에 국가 차원의 집중 투자가 이뤄져 질적 성장을 위한 도약의 기틀을 마련했다. 반도체 분야가 대표적이다. 중국 재정부를 중심으로 반도체 산업 육성 펀드인 ‘국가집적회로산업투자기금’을 조성해 반도체 관련 투자에 나섰다. 2014년 1차로 조성된 기금은 1387억 위안이었고 미중 간 기술 패권 경쟁이 달아오른 2019년에는 규모를 대폭 늘려 2042억 위안을 투입했다. 유의미한 성과가 없다는 지적도 있지만 기초부터 다져진 중국의 기술력이 오히려 레거시 반도체 분야에서 성과를 나타냈고 최근에는 첨단 분야로 이어진다는 분석이다.

관련기사





이를 통해 중국은 반도체 자급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미국의 추가 제재에 대비하는 것이다.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에 따르면 중국의 파운드리 업체들은 웨이퍼 생산량을 전년 대비 올해 15%, 올해 대비 내년 14% 늘릴 것으로 전망된다. 대중국 압박에 맞서 자체 생산 능력을 키운 결과 중국 1위 파운드리 업체 SMIC는 올해 1분기 사상 처음으로 글로벌 점유율 3위에 올랐다.

반도체 제조업체 역시 독자 생산을 늘리려 반도체 제조 장비 확보에 열을 올리고 있다. 미국 CNBC에 따르면 중국의 올해 상반기 반도체 장비 조달 규모는 247억 3000만 달러로 한국과 대만·북미·일본을 모두 합친 규모(236억 8000만 달러)보다 많았다. 중국 기업의 이 같은 적극적인 투자에는 정부의 후방 지원이 뒷받침된 것으로 분석된다. 갈수록 거세지는 미국의 첨단 기술 통제에 맞서 중국은 정부와 국영은행·기업 등으로부터 기금을 모아 올해 5월 3400억 위안 규모의 3차 반도체 펀드를 조성했다.


베이징=김광수 특파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