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학교에서 급식과 돌봄 업무를 담당하는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6일 총파업에 돌입했다. 일부 학교에서는 빵과 우유 등 대체식을 제공하는 등 급식 운영에 차질을 빚었다.
학교비정규직노조·공공운수노조 교육공무직본부·전국여성노조로 이뤄진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연대회의)는 정규직과의 임금 차별 해소 등을 요구하며 6일 하루 파업에 나섰다. 교육공무직노조는 서울시교육청 앞, 전국여성노조는 용산 대통령실 앞, 학교비정규직노조는 세종대로 앞에서 각각 결의대회를 열었다.
연대회의는 △실질임금 인상 △임금체계 개선 △급식실 노동환경 개선 △방학 중 비근무자 생계 대책 등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임금이 낮고 근무 환경이 열악하다며 처우가 개선돼야 한다고 강하게 주장하고 있다. 급식실 근로자의 경우 한 달 기본급 198만6000원을 받는데 이는 법정 최저임금(206만 원)보다 낮은 수준이라는 것이다. 연대회의는 올해 7월부터 교육부 및 전국 17개 시도교육청과 실무교섭(9회)과 본교섭(4회)을 진행했지만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이들의 ‘급식 파업’은 올해로 6년째다.
교육부에 따르면 이날 파업에 참여한 인원은 오전 11시 기준 2만 6292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체 교육공무직원 수(17만 5369명)의 15%를 차지한다. 직전 파업인 지난해 3월 31일 당시 2만 3516명(13.9%)보다 참여 인원이 늘었다.
이날 파업으로 전국 3910개 학교에서 급식이 정상 운영되지 않았다. 이는 전체 급식 대상 학교의 30.7%다.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서울 관내 학교 1397곳 중 220곳(15.75%)에서 급식 제공에 차질이 빚어졌다. 이 가운데 200곳은 빵·음료 등 대체식을 지급했고, 4곳은 도시락 지참을 안내했으며 16곳은 아예 급식을 지급하지 않았다. 서울 관내 파업 참여 인원은 교육공무직원 2만 4174명 중 1757명(7.27%)이었다. 지난해 3월 파업 당시(1298명)보다 459명 늘었다.
서울 유치원 방과 후 과정 학교는 293곳 학교 중 2곳에서 운영에 차질이 있었다. 초등 돌봄 교실과 특수 학교는 모두 정상 운영했다. 서울시교육청은 각 학교에 대책을 마련하게 하고 본청에서 파업 대책 상황실을 운영했다.
부산에서도 급식 중단 사례가 잇따랐다. 부산시교육청은 이날 파업에 참여한 부산 지역 교육공무직은 전체 1만2398명 중 956명(7.71%)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급식 중단 학교는 관내 전체 학교 중 10.3%인 69개곳이다. 초등학교의 돌봄교실은 총 911교실 중 6교실(0.6%)이 운영되지 않는 것으로 집계됐다. 대전에서는 전체 학교 공무직 5249명중 727명이 파업에 참여했다. 세종은 2290명 가운데 33.7%인 773명이 파업에 동참했다. 충남은 전체 교육 공무직 8763명 중 902명(10.3%)이 파업에 동참했다.
학부모들은 대체로 파업에 참여한 교육공무직의 주장에 공감하면서도 파업의 장기화 시 ‘급식 대란’ 사태가 일어날 것을 우려했다. 6년째 이어지는 ‘급식 파업’의 방식 자체를 바꿔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이날 급식 대신 빵과 우유를 제공한 서울의 한 초등학교에서는 많은 학생들이 집에서 직접 도시락을 챙겨온 것으로 전해졌다. 초등학생 자녀를 둔 한 학부모는 “어떻게 아이들에게 빵만 먹고 하루를 버티라는 건지 모르겠다”며 “파업이 길어지면 아이들이 제대로 된 식사를 하지 못할 것 같아서 걱정이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