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정부 쌀 대책, 즉석밥 값만 올린다

쌀 산업 구조개혁안 발표

벼 재배면적 8만㏊ 감축 목표 과도

즉석밥·냉동밥 수입쌀 사용도 막아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가 1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쌀 산업 구조 개혁 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가 1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쌀 산업 구조 개혁 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내년 하반기께부터 국내에서 판매되는 즉석밥과 냉동밥에 수입쌀 및 정부 공공 비축미를 사용할 수 없도록 막는다. 당해에 추수한 쌀을 쓰게 해 쌀 소비를 늘린다는 계획이지만 원가가 2~4배 비싸져 쌀 가공식품의 가격만 오를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정부가 내년 감축 목표로 내세운 쌀 재배 면적 8만 ㏊ 축소도 사실상 달성이 어려운 목표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12일 농림축산식품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쌀 산업 구조 개혁 대책’을 발표했다. 1인당 쌀 소비량이 2018년 61㎏에서 지난해 56.4㎏으로 7.5% 급감한 반면 쌀 재배 면적은 같은 기간 73만 8000㏊에서 70만 8000㏊로 4.1% 감소하는 데 그치면서 쌀 산업이 구조적 과잉 상태에 놓였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정부는 먼저 내년에 쌀 재배 면적 조정제를 실시하고 여의도 면적의 276배, 올해 벼 재배 면적의 11.5%에 달하는 8만 ㏊를 줄이기로 했다. 각 시도에서 자체 감축 계획을 수립하면 정부가 농가별 조정 면적 통지서를 발송하고 그 이행 상황을 점검하는 식이다. 정부는 감축을 독려하기 위해 밀·콩 등 전략작물 지급 면적과 단가를 확대하고 지급 대상 작물에 깨를 신규로 추가하기로 했다. 감축 목표를 초과 달성한 농가에는 기본 직불금 지급 시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다.

다만 전문가들은 이 같은 정부의 목표가 현실적이지 않다고 평가했다. 정부가 올해 벼 재배 면적 감축 사업을 실시했음에도 통계청 조사 결과 올해 벼 재배 면적은 1만 298㏊ 줄어드는 데 그쳤기 때문이다. 김한호 서울대 농경제사회학부 교수는 “정부의 의지 표현 정도로 보고 있다”며 “쌀 재배 조건이 (다른 작물보다) 워낙 유리한 데다 야당에서 쌀 가격을 보장해주는 양곡관리법 개정안도 추진하고 있어 감축이 쉽지 않다”고 말했다.

정부가 수입쌀과 공공 비축미 등 정부 양곡의 사용 용도를 제한하기로 하면서 내년 하반기 국내 즉석밥·냉동밥의 가격 인상도 불가피해졌다. 민간 쌀을 사용하도록 하면 시장 내 쌀 소비량을 늘릴 수 있지만 민간 쌀 가격은 공공 비축미보다 약 2배, 수입쌀보다 약 4배 더 비싸기 때문이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용도 제한 시 가격 인상 요인이 있는 것은 맞다”며 “다만 내년 하반기부터 단계적으로 실시할 예정이며 제품의 품질은 올라갈 것”이라고 해명했다.


세종=조윤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