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팬데믹 시기 '칩플레이션' 확대… 저가물품 상승률이 3배 높아"

1분위 상품 16.4% 오를 때 4분위는 5.6% 상승 그쳐

수입 원자재 급등에 저가 상품으로 수요 전이가 원인

"계층별 소득에 따른 인플레이션 불평등 더욱 심화해"

서울 시내 한 마트에 과일이 진열돼 있다. 연합뉴스서울 시내 한 마트에 과일이 진열돼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 저가상품의 가격 상승률이 고가상품보다 높아 취약계층의 부담이 커졌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한은이 18일 발표한 ‘팬데믹 이후 국내 칩플레이션(cheapflation) 현황’에 따르면 1분위 저가상품 가격의 상승률이 4분위 고가상품 가격 상승률의 3배를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1월부터 2023년 9월까지 동일 품목 내 상품을 평균가격 기준 1~4분위로 분류한 결과, 1분위 저가상품의 가격 상승률은 16.4%에 달한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4분위 고가 상품의 가격 상승률은 5.6%에 그쳤다.

관련기사



한은은 이 같은 현상을 ‘칩플레이션’으로 규정했다. 한은 관계자는 “팬데믹 이전에는 각 분위 간의 상승률 격차가 미미했지만, 팬데믹 이후 인플레이션 급등기에는 1~4분위 상품 간 상승률 격차가 크게 확대됐다”며 “2023년부터는 디스인플레이션이 진전되며 1분위 상품의 가격상승률이 상대적으로 빠르게 둔화돼 상승률 격차가 줄었다”고 설명했다.

팬데믹 기간 ‘칩플레이션’이 발생한 것은 수입 원자재가격이 급격한 오른 데다 수요 측 변동이 발생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저가 상품은 생산비를 낮추기 위해 수입원자재를 사용하는 사례가 많은데 코로나19 확산 이후 원자재 가격이 급격히 오른 영향을 받은 것이다. 한은 관계자는 “팬데믹 이후 글로벌 공급 병목,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수입 제조용 원재료의 국내 공급물가가 크게 상승했다”며 “저가 상품은 이익률(마진)이 작아 비용충격에 대한 흡수력이 낮고 판매가에 상당 부분 전가된다”고 설명했다.

저가 상품으로 수요가 전환한 점도 원인으로 풀이된다. 한은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가계는 고인플레이션 시기에 실질소득 감소에 따른 부담을 줄이기 위해 이전에 소비하던 상품과 비슷하지만 더 싼 상품을 구매한다”며 “보다 저렴한 상품이나 판매점으로의 수요 전환으로 해당 상품 가격은 더 높아지게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칩플레이션’으로 인해 소득계층 간 불평등은 더욱 심화한 것으로 분석됐다. 한은에 따르면 2019년 4분기부터 2023년 3분기까지 하위 20% 저소득층의 실효물가 누적 상승률은 13%로 상위 20% 고소득층(11.7%)보다 1.3%포인트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은 관계자는 “상품의 가격 분위별 상승률이 달라지면 각 소득 계층의 실효물가도 달라진다”며 “소득분위별 소비품목 구성차이에 따른 물가상승률 격차 등을 고려하면 소득에 따른 인플레이션 불평등은 더욱 심화한다”고 설명했다.


강동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