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스마트폰 vs 태블릿PC vs 전용리더기

FORTUNE' S POLL 포춘코리아와 마크로밀이 공동조사한 이달의 설문

전자책 단말기 소비자 선호도 '어느 게 제일 좋을까'

아마존 킨들이 공전의 히트를 기록한 데 반해 국내 전자책 전용리더기는 죽을 쒔다. 스마트폰과 아이패드는 전자책 업계에 새 바람을 일으킬 수 있을까. 소비자 설문조사를 통해 국내 전자책 시장의 현주소를 살펴봤다. 차병선 기자 acha@hk.co.kr

국내 소비자는 전자책 단말기로 스마트폰과 태블릿PC를 가장 선호하고 있으 며, 전자책을 이용해 소설과 교육middot;학습 도서, 잡지를 가장 읽고 싶어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포춘 코리아가 일본계 온라인 리서치 회사 마크로밀코리아와 함께 지난 2월 8일 전국 20~40대 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전자책 선호도에 대한 인터넷 설문조사(신뢰수준 95%, 표폰오차 plusmn;4.4%)를 벌인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나타났다.

먼저 전자책을 구매했거나 구매를 고려한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응답자 60.3%가 '그렇다'고 답했다. 이들은 전자책을 구매하려는 이유로 '휴대하기 편리하다' (63.6%)를 가장 높게 꼽았고, '종이책보다 저렴해서' (14.9%), '메모나 책갈피 기능을 이용할 수 있어서' (9.3%), '구매하기 편리해서' (6.9%), '시각적으로 화려해서' (3.9%)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반대로 전자책 구매를 고려하지 않은 이유로는 '왠지 종이책이 더 좋아서' 라는 응답자가 47.9%로 가장 많았다. '종이책이 실물로 소장할 수 있어서' (20.2%), '전자책이 눈에 피로를 줘서' (15.1%), '전자책 종류가 부족해서' (9.2%)는 다음 순이었다. 업계에선 전자책이 활성화되지 않는 주된 이유로 '전자책 종류가 많지 않다' 는 점을 꼽고 있지만, 실제 소비자는 종이책 활용에 대한 막연한 관성과 기호 때문에 전자책을 멀리 하는 것으로 나타나 눈길을 끌었다.

관련기사



전자책 단말기로는 스마트폰과 태블릿PC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선호하는 전자책 단말기는 무엇이냐는 질문에 응답자 30.1%가 스마트폰을 꼽았고, 그 뒤는 아이패드(23.3%), 갤럭시탭 (15.8%), PC나 노트북(14.9%) 등이 이었다. 전용 리더기(6.6%)와 PMP(6.3%)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에 한참 뒤졌고, 전자사전(1.8%) 또한 매우 미미한 선호도를 나타냈다.

전자책 단말기를 선택할 때 고려사항을 묻는 질문(복수응답)에는 '눈에 피로를 덜 줘야 한다' 가 41.8%로 가장 높았고, '휴대하기 편해야 한다' (40.6%), '전자책 리더기 외에도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33.7%), '전자책을 다운받기 편해야 한다' (33.7%), '다양하고 많은 전자책을 다운받을 수 있어야 한다' (31.3%)가 10%P 이내 근소한 차이로 많은 지지표를 받았다. 전자책 전용리더기는 실제 눈에 피로를 가장 덜 주는 단말기임에도 불구하고 활용성과 편리성이 떨어져 소비자들에게 외면당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전자책으로 읽고 싶은 책 분야로는 소설 이 59.4%로 가장 높았다. 그 뒤론 교육 및 학습 (40.4%), 잡지(24%), 실용(22.4%), 경제 및 경영 (20.2%), 일간지(14%), 인문서적(11.2%) 순이었다. 전체 응답자 중 82%는 국내 전자책 시장이 해외에 비해 활성화가 덜 되었다고 답했다. 그 원인으론 '출판업계가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기 때문' (32.7%), '전자책 단말기가 비싸서' (27.1%), '읽을 수 있는 전자책이 적어서' (25.6%), '전자 책 가격이 비싸서' (14.6%) 등을 꼽았다.

마크로밀코리아는…
일본 온라인 리서치 업계 1위인 마크로밀의 한국 법인으로 2009년 5월부터 국내 서비스를 시작했다. 2010년 8월 말 현재 155여 개의 클라이언트사와 23만 명 이상의 엄선된 리서치 패널을 확보하고 있다.


FORTUNE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