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기상천외 특허세상] 손목 휴지

음료를 쏟거나 음식물을 흘렸을 때, 갑자기 콧물이 흘러내릴 때, 그리고 야외에서 화장실이 급할 때. 그럴 때마다 가방 속에 챙겨 놓았다고 믿었던 휴지는 온데간데없다. 각 티슈, 물티슈, 두루마리 등 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의 휴지가 출시돼 있지만 대부분의 생필품이 그렇듯 정말 필요로 할 때는 쉽게 눈에 띄지 않는다는 게 흠 이다.

2002년 경기 성남의 이 모씨는 이 같은 난감한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아이디어 상품으로 실용신안을 출원했다. 항상 몸에 착용할 수 있는 '손목 휴지'가 그것이다.


명칭에서 예상되듯 이 제품은 손목에 시계처럼 착용하는 휴대용 휴지다. 필요할 때는 언제 어디서든 절취선을 찢고 휴지를 꺼내 사용하면 그만이다. 때문에 출원인은 등산, 낚시 등 야외활동에서 더 없는 효용성을 발휘한다고 설명한다.

관련기사



특허청은 아이디어의 참신성을 인정한 듯 실용신안 등록을 허락했다. 하지만 출원인의 등록료 불납으로 지금은 권리가 소멸된 상태다.

권리를 스스로 포기한 사유를 알 수는 없지만 상용화 가능성이 낮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보인다. 사실 휴지는 시계나 팔찌보다 월등히 부피가 크기 때문에 이를 손목에 착용하는 것은 가방이나 주머니에 넣고 다니는 것 이상의 번거로움을 감수해야 하는 탓이다.

외관상으로도 그리 좋지 않을 것임은 당연하다. 휴지가 필요하게 될 한 순간을 위해 오랜 시간 이런 불편을 참아낼 ‘휴지 애호가’는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파퓰러사이언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