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마켓리포트를 통해 이 같은 법과학 관련 산업의 대폭적인 성장이 예견된다고 밝혔다.
실제로 법과학 전문 시장조사기관인 포렌식테크놀로지마켓(FTM)의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103억 달러(약 11조원)였던 전 세계 법과학 관련 제품·서비스 시장이 향후 5년간 연평균 14%대의 고속성장을 구가해 오는 2019년에는 177억 달러(약 19조6,20 0억원) 규모로 확대될 전망이다. 특히 FTM은 아시아 지역의 성장세가 뚜렷해 2019년께 세계 시장의 약 60%를 점유할 것이라고 예견했다.
국내 시장 역시 개인식별(바이오인식) 산업을 중심으로 올해 1,541억원에서 4년 뒤 3,515억원으로 2배 이상의 성장이 예측됐다. 이와 관련 정예림 KISTI 선임연구원은 전체 법과학 산업의 성장을 이끌 쌍두마차로 ‘유전자 감식’과 ‘디지털 포렌식’을 지목했다. 전자는 인체조직 샘플의 DNA를 증폭시켜 신원을 파악하는 기술이며 후자는 디지털 기기에서 전자적 정보를 수집·분석해 범죄의 증거와 단서를 찾는 기술을 말하는데 두 분야 모두 연평균 10% 이상의 빠 른 시장 성장률 을 나타내고 있다는 설명이다.
정선임연구원은 “디지털 기기의 대중화와 사이버 범죄의 증가로 범죄수사에서 디지털 증거 분석의 존재감이 커지고 있다”며 “세계 디지털 포렌식 시장만도 2018년 23억 달러(약 2조 4,500억원)에 달 할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정 선임연구원은 또 “국내의 경우 DNA법 으로 불리는 ‘DNA 신원확인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시행과 검찰의 디지털수사망 구 축사업, 국가디지털포렌식센터(NDFC) 및 디지털포렌식연구소 개
소 등에 힘입어 공공 부문에서의 성장이 두드러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공공 부문 주도적 시장이 오히려 중소기업들에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고 판단한다. 미국·유럽 등의 선진국은 민간기업들이 이미 법과학 분야에서 활발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는 유전자 감식 기업이 10여곳에 불과한 초기시장인데다 디지털 포렌식 툴도 대부분 외국제품이 점령해 기술력만 갖춘다면 관련 시장을 주도할 개연성이 매우 높다는 이유에서다.
정 선임연구원은 “적극적인 시장분석과 기술개발을 통해 법과학 시장을 선점한다면 상당한 부가가치 창출을 기대할 수 있다”며 “민간시장 활성화는 국내 법과학 서비스의 효율화와 질적 향상으로 이어져 국민 전체의 이익으로 귀결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