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자동차업체] 딜러제 제동 나섰다

자동차업체들이 국제통화기금(IMF) 체제이후 관리비 및 운영비를 줄이기 위해 직영점은 줄이는 반면 딜러(판매대행업체)를 갑자기 늘리는 와중에서 딜러제의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다.영세딜러의 갑작스런 영업정지로 고객피해가 우려되는데다 직영점 영업사원들이 높은 소개료를 챙기기 위해 고객들을 딜러에게 넘기는 등 딜러제가 아직 정착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으로 완성체업체들은 부작용 방지를 위해 그동안 확대실시해오던 딜러제를 축소하는 방안을 전면 재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19일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현대자동차는 직영점만 운영해오다 경제난이 시작된 지난해초부터 딜러제를 도입, 딜러수를 현재 직영점(600여개)의 절반수준인 300개까지 늘렸다. 대우는 일찍부터 「직영점 축소-딜러 확대」정책을 펴 지난해말 337개였던 직영점은 324개로 줄인 반면 딜러는 449개에서 457개로 늘어났다. 대우측은 직영점은 현수준을 유지하되 딜러는 연말까지 600개까지 늘리겠다는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기아도 지난해말 310개였던 딜러수를 현재 340개까지 늘린데 이어 올해도 딜러를 더 선정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딜러들이 갑자기 늘어나면서 자본력이 약한 영세 딜러들이 다수 등장, 판매가 부진할 경우 점포를 페쇄하는 등 소비자들이 후속서비스(AS)를 받지 못하는 사례가 빈발하고 있다. 특히 딜러소속 영업사원은 완성차업체의 직영점 영업사원과 달리 딜러가 임의로 채용한 경우가 많고 완성차업체의 영업사원 전문교육조차 받지 않고 있어 서비스에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많은 것으로 관계자들은 설명했다. 또 업체 직영점에 근무하는 영업사원들은 회사로부터 받는 판매수당(인센티브)보다 딜러로부터 받을 수 있는 차량 중개비가 더 크다는 점에 착안, 고객들을 딜러에 떠넘기고 있는데 이로 인한 차량거래선 왜곡으로 완성차업체들이 크게 고심하고 있다. 예를들어 4,000만원짜리 「다이너스티3.5」를 팔 경우 현대 직영점 영업사원은 판매수당으로 23만원을 받지만 딜러로부터는 차값의 4%인 160만원까지 지급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따라 노관호 현대차 사장은 최근 『딜러확대정책을 일단 중단하고 딜러의 문제점을 재점검하라』고 지시했다. 이와 관련, 현대차 관계자는 『무책임한 딜러가 고객들에게 입히는 유형 무형의 피해가 겉으로 드러난 것이상으로 심각한 것으로 보여 자체조사를 벌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대우 관계자도 『딜러는 직영점과 달리 건물임차비, 영업사원 월급 등 고정비용을 지출할 필요가 없어 완성차업체들이 선호하고 있지만 딜러의 피해대책은 사실상 없다』고 말했다. /정승량 기자 SCHUNG@SED.CO.KR

관련기사



정승량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