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대지진, 중동 사태, 남유럽 재정악화 우려 등 주식 시장을 둘러싼 악재들이 한꺼번에 터지고 있다. 이로 인해 환율, 유가, 원자재 가격 등이 급등하면서 주식시장에 비우호적인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러한 악재에 대한 민감도가 떨어지면서 글로벌 증시 및 코스피지수가 이전 수준으로 복귀하는 등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이제 시장의 관심사는 향후 코스피지수가 지속적으로 상승할 수 있는가에 모아지고 있다.
특히 일본 대지진과 관련해서는 인적, 물적 피해규모를 정확히 산정하기도 힘든 상황이지만, 세계 주요 기관들이 측정한 바로는 이로 인해 일본 경제성장률이 최소 0.2%~0.5%p, 최대 5%p 하락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우리투자증권 전망으로는 일본 경제성장률이 5%p 하락하면, 한국 성장률은 1.0%p 하락, 세계경제 성장률 하락폭은 0.1%p 에서 최대 0.5%p 수준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경제에 일본이 기여하는 비중이 1995년 고베 지진 때보다 감소(1995년 18%에서 2010년 9%)했고 이와테현과 미야기현, 후쿠시마현 등 최악의 피해 지역이 일본 전체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8%에 그치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의 대지진이 세계 경제성장률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인 대신, 재난의 복구를 위한 경기 부양의 기대감은 큰 상황이다. 재난경제학, 소위 파괴의 경제학(economics of disasters)이라고 불리는 것인데, 이 이론에 따르면 통상적으로는 천재지변으로 자산과 인력이 손실되면 생산성 하락이 나타나지만, 이는 일시적이며 기존 상태로의 환원을 위해 기존보다 2~3배에 달하는 자금과 노동이 투입돼 생산은 급속히 회복된다는 것이다.
특히 일본의 경우 정치적인 배경으로 인해 경기부양정책이 지연됐고, 장기침체가 지속되고 있었던 상황이였던 만큼, 일본 경제가 재해 복구 과정을 통해 다시 살아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물론 정부의 재정 지출 확대로 일본 정부 재정에 대한 우려도 존재하나, 지진 복구에 따른 정부 지출 비용은 지난 1995년 고베 대지진 발생 당시의 3조 3,000억엔보다 상당히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며, 일본 정부는 지난해 예비비와 추경편성을 통해 우선적 복구사업을 실시할 예정이다.
그렇다면 시장참여자들의 판단은 어떤 것일까? 현재까지는 일본 대지진에 따른 글로벌 성장률 둔화에 대한 우려보다는 재난경제학의 이론에 따라 일본 경제가 재해 복구 과정을 통해 다시 살아날 가능성에 더욱 무게를 두는 것 같다. 지수의 상승세는 결과론적이라고 보더라도 가장 중요한 변화는 국내 주식형 펀드의 처분효과(disposition effect)가 사라지고 있다는 점이다. 처분효과(기분효과)란 행태재무론(Behavioral fianace)에서 설명하는 이론으로, 보유자산의 가격이 매수가격 이하로 떨어졌을 때 매도하기를 주저하며, 이익이 되는 자산은 바로 처분하여 추가 이익의 기회를 상실하는 현상을 말한다.
하지만 3월 11일 일본 대지진으로 지수가 급락세를 나타난 이후 회복과정에서 주식형 펀드에서는 환매는 줄고 오히려 자금이 유입되는 모습이었다. 사모펀드의 시가평가로 인한 착시현상도 있겠지만, 환매가 급격히 줄었다는 점이 특징적이라는 점에서 투자 원금 손실의 '트라우마'를 가진 개인투자자들이 처분효과(disposition effect)에서 서서히 벗어나 추가 이익의 기회를 찾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물론 대체 투자 자산의 기대수익률이 낮다는 점, 절대 금리수준이 낮아 일드갭(yeild gap) 상 상대적으로 주식에 대한 메리트가 높다는 점 등이 주식의 매력도를 높이는 이유이겠지만, 재난의 경제학에 대한 이해와 처분효과 소멸의 진행으로 주식관련 자금은 향후 지속적으로 유입될 것으로 전망되며, 투자자들의 심리도 의심과 두려움의 국면에서 기회 및 확신의 국면으로 전환되고 있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