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해양관광 메카-환황해경제권 거점-중추행정 연계축 등 육성

2020 종합계획 마련…녹색성장,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연계 모색

10년 후의 충남의 모습은 어떤 모습일까. 충남도는 10년 후 충남의 밑그림이 될 ‘충청남도 종합계획 재수정 계획(2011~2020)’ 연구안을 마련하고 6일 중간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번에 만든 계획안은 지난 2008년 1월 확정된 수정계획을 바탕으로 정부가 추진중인 저탄소 녹색성장과 초광역ㆍ광역ㆍ기초생활권계획 등 새로운 지역개발 정책을 반영했으며, 지난 5월 확정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와의 연계도 모색했다. 계획안에 따르면 천안과 아산, 서산, 당진 등 북부권은 환황해경제권의 생산ㆍ교역 거점으로 육성되며 태안과 보령, 서천 등 서해안권은 환황해권 교역의 전진기지와 해양휴양ㆍ관광의 메카로 육성된다. 공주와 계룡, 연기, 홍성, 예산, 청양 등 내륙권은 국가ㆍ지방 중추행정 연계축으로 지역균형발전 촉진지대로 개발되며 금산, 논산, 부여 등 금강권은 역사ㆍ문화관광, 생명ㆍ정보산업, 도농 복합 생활공간으로 육성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북부권 활성화를 위해 항만ㆍ철도망ㆍ도로망의 입체적 구축과 함께 물류ㆍ유통 거점기능을 확충해 지역산업과 연계하는 방안을 제시했고 내륙지역에는 정보ㆍ기술집약적 첨단산업을, 연안지역에는 임해산업을 중심으로 배치하되 산업단지간ㆍ지역간 산업협력 네트워크를 고도화하고 과학벨트와의 연계를 강화해나갈 방침이다. 또 서해안권에는 거점항만 및 항공물류기지를 확충해 국제적 교역ㆍ교류의 거점으로 특화ㆍ육성하고 내륙권에는 인구 10만명의 내포신도시를 충남의 새로운 성장거점으로 만들고 백제문화권과 내포문화권을 연계한 역사ㆍ문화ㆍ녹색관광벨트도 구축된다. 남부권은 금강의 수자원과 역사ㆍ문화자원, 경관ㆍ환경자원, 토지자원, 다양한 농촌 어메니티자원 등을 활용, 녹색성장 기반이 구축된다. 충남도 관계자는 “앞으로 주민공청회와 충남도지방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안을 마련, 연말까지 국토해양부 승인을 얻을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