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전세 줄고 반전세·월세 는다

KB금융硏 가계소득 증가분 전세금 상승폭 못미쳐

가계의 소득증가액이 전세금 상승폭을 따라잡지 못해 전세 비중은 줄어들고 반전세나 월세의 비중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는 25일 ‘전세시장 동향 및 구조변화’ 보고서를 통해 지난 1년간 전국 임대차 계약 중 전세 비중은 62.3%에서 52.9%로 9.4%포인트 하락했다고 밝혔다. 반면 반전세와 월세는 각각 4.8%포인트와 4.6%포인트 늘어난 13.8%, 33.5%를 기록했다. 연구소 측은 “전국 아파트 평균 전세가격은 최근 2년간 1억2,298만원에서 1억5,613만원으로 2,865만원(23.3%) 증가했지만 전국 가구의 평균 소득증가액은 578만4,000원에 그쳤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가계소득에서 가계지출을 제외한 가계 흑자액의 경우 지난해 월평균 67만1,000원으로 43개월을 모아야 평균 전세금 상승분인 2,865만원을 충당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서울 강남 지역은 전세 상승금액이 5,750만원으로 이를 모으기 위해서는 무려 72개월이 필요했다. 기경묵 KB금융지주연구소 연구원은 “전세금 상승폭을 소득 증가액이 따라잡지 못해 월세 등의 비중이 늘고 있다”며 “맨손에서 가계 흑자액만으로 전세금을 마련하는 데는 무려 19년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