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美 빈 라덴 사살] '테러와 전쟁 10년' 최대 성과

오바마 정치력에도 날개 달듯<br>7월 아프간 철군에 명분<br>재선 가도도'순풍' 예상<br>"알카에다 조직 붕괴 등<br>테러리즘 종말 아니다" <br>보복 테러 우려도 고조


오사마 빈라덴의 죽음으로 미국은 지난 10년 동안 외교정책의 중심축을 이뤄온 '테러와의 전쟁'에서 큰 획을 긋게 됐다. 내년 대통령선거 재선을 앞두고 리비아 사태 장기화와 아프가니스탄 철군에 대한 우려, 불투명한 경기전망과 재정적자 확대 등 대내외적으로 갑갑한 상황에 처해있던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지난 10년간 미국인들에게 불안감을 안겨줬던 빈라덴의 죽음으로 정치적으로 '날개'를 달게 됐다. 또 오는 7월부터 강행하기로 한 아프가니스탄 순차 철군에 대한 명문과 정당성도 한층 힘을 받게 됐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빈라덴의 죽음이 테러리즘의 종말을 의미하지는 않는다고 경계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미국이 10년째 목을 매온 '테러와의 전쟁'은 사실상 '빈라덴과의 전쟁'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 따라서 빈라덴 사살은 지난 10년간 미국이 주도해온 '테러와의 전쟁'의 최대 성과이자 지난 2003년 이라크 후세인 전 대통령 체포와 함께 대(對)테러전의 결정적인 전기로 풀이된다. 테러조직인 알카에다가 조직을 상징하는 정신적 지주이자 반미 테러의 구심점이 됐던 빈라덴의 사살은 알카에다 조직의 테러활동에 치명적인 타격이 될 것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빈라덴의 죽음이 미국의 대테러전의 종결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알자지라방송은 미국 군사 애널리스트인 마크 키미트의 말을 인용, "빈라덴의 죽음은 상징적인 의미는 있지만 테러리즘의 종말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며 알카에다 조직의 위협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도 "알카에다는 소규모 '세포' 단위로 테러를 실행하는 조직"이라며 "이번 일을 계기로 반미감정이 악화돼 테러전이 한층 심화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일각에서는 빈라덴의 '두뇌'역할을 해온 조직의 2인자 아이만 알자와히리가 알카에다 지도자 자리를 이어받아 서방에 대한 테러활동을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된다. 미 국무부는 빈라덴 사살로 미국인을 겨냥한 테러활동과 폭력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졌다며 반미 폭력사태를 촉발할 수 있는 지역에 있는 자국민에게 외출을 삼가도록 촉구하는 등 여행주의보(travel alert)를 발령했다. 뉴욕타임스는 "유가상승과 재정적자 확대 등 대내적 요인으로 지지율이 하락하는 시점에 나온 빈라덴 사살 소식으로 내년 대선 캠페인을 앞둔 오바마 대통령이 국가안보 문제에서 분명한 우위를 차지하게 됐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