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수출 중기, 환율불안으로 채산성 악화 우려

중소기업들이 올 상반기 환율불안으로 수익성이 나빠질 것으로 내다봤다. 중소기업중앙회가 261개사 수출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1년 2ㆍ4분기 환율 및 수출여건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 업체의 86.4%가 최근 지속적인 환율 하락으로 수출채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고 답했다. ‘매우 부정적’이라고 응답한 업체도 40.3%에 달했다. 수출중소기업이 최소한의 채산성 유지를 위한 적정 환율 수준은 달러의 경우 1,136원10전, 중국위안화 168원60전, 유로화 1,551원, 엔화 1,295원80전으로 조사됐다. 특히 원ㆍ달러 경우 현재 환율이 적정환율을 크게 밑돌고 있어 수출중소기업들의 채산성 악화가 우려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수출 중기의 응답업체 77.5%가 정부가 외환시장에 적극 개입해 환율 조정을 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 환위험 관리방법으로는 ‘은행과 환율상담’(25.5%), ‘대금결제일 조정’(18.5%), ‘결제통화 다변화’(12.4%)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시중은행, 한국거래소, 무역보험공사 등의 파생상품을 이용해 환리스크 관리를 하는 기업은 12.4%에 불과했다. ‘환위험 관리를 안한다’는 업체도 25.2%에 달했다. 한편 수출관련 가장 큰 애로사항은 ‘원자재 가격변동’(32.3%), ‘환율하락에 따른 채산성 악화’(31.5%), ‘판로개척’(12.5%)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애로해소를 위해 필요한 정부의 대책으로는 ‘원자재 가격안정’(28.6%), ‘안정적 환율운용’(24.6%), ‘수출금융 지원 확대’(14.7%)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