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나노구조체 이용 차세대 광전소자 개발

기계硏 김준동 박사팀, 대면적 광전소자 제작 가능


나노구조체 이용 차세대 광전소자 개발 기계硏 김준동 박사팀, 대면적 광전소자 제작 가능 입사광 이용면적 기존 평판 형태보다 10만 배 이상 획기적으로 늘려 대덕=구본혁기자 nbgkoo@sed.co.kr 국내 연구진이 나노구조체를 활용해 태양전지 등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차세대 광전소자 개발에 성공했다. 한국기계연구원 나노역학연구실 김준동 박사팀은 돌기 형상의 대면적 나노구조체에 고성능 투명전극을 입혀 입사광 이용면적을 기존 평판 형태보다 10만 배 이상 획기적으로 늘린 광전소자를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광전소자는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소자로 태양전지, LED, 디스플레이, 조명기기 등의 제작에 사용된다. 기존 광전소자는 크기가 작은 나노구조체에 일일이 전류를 통하게 해야 하는 등 까다로운 공정이 필요해 상용화에 어려움이 많았다. 연구팀은 전극을 지니는 고성능 물질을 플라즈마 증착 기술을 활용, 나노구조체의 돌기에 입혀 제작비용을 20~30% 절감하는데 성공했다. 이를 통해 향후 대면적 나노구조체 공정에 활용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김준동 박사는 “이번 기술 개발로 향후 태양전지나 LED, 디스플레이, 조명기기 등의 제작에 새 장이 열릴 것으로 기대한다”며 “새로 개발된 광전소자는 특히 저비용 고효율 태양전지 개발의 근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IT·과학&자동차] 앗! 내가 몰랐던 정보들도 가득!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