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한국형 스마트팜 3년간 8000여 농가에 보급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정부가 오는 2017년까지 지능형 경작 시스템인 한국형 스마트팜을 8,000농가에 보급한다. 아울러 재난현장에 드론·로봇 등 첨단구난장비를 투입한다.

정부는 16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박근혜 대통령 주재로 열린 '제16차 국가과학기술자문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과학기술을 접목한 재난안전과 농업 혁신 방안'을 보고했다.

자문회의에서는 현재 스마트팜 현장 보급이 저조한 상황에서 핵심기술을 국산화하고 기술을 고도화해 아시아 등 글로벌 시장 진출을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농가인구 고령화, 경지면적 감소, 중국·호주 등 농축산 강국과의 잇따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로 인한 위기의식의 발로다.


이를 위해 정부는 한국형 스마트팜 보급뿐 아니라 △밭작물 농기계 긴급 실용화 △농산 부산물 활용 △개방형 연구개발(R&D) 혁신 등을 농업 분야 혁신 방안으로 제시했다. 이를 통해 2017년까지 전체 산업에 대해 5조700억원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누릴 수 있다고 전망했다.

관련기사



이상엽 자문위원은 "우리나라가 그동안 축적된 연구성과와 세계 수준의 정보통신기술(ICT)를 농업에 접목한다면 농업 선진국으로의 새로운 길이 열릴 것"이라고 밝혔다.

자문회의에서는 또 농업 혁신 방안 외에 과학기술을 활용한 재난대응 방안도 제시됐다.

미래창조과학부는 먼저 예방 대비 단계에서 안전진단센서, 지능형 CCTV를 활용해 실시간으로 재난을 감지하고 맞춤형 재난 시뮬레이션 모델을 개발해 재해 예측 정확도를 지난 2013년 50% 수준에서 2017년 70%로 높이기로 했다.

아울러 복구 단계에서는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을 위해 재난용 무인기, 재난안전로봇, 개인방호 스마트 장비 등 첨단구난장비를 2017년까지 재난현장에서 실제 쓸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보고했다. 이를 통해 재난안전산업 분야에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강소기업까지 육성한다는 복안이다.

최양희 미래부 장관은 "국민안전처와 협조해 과학기술 기반의 재난대응 시스템을 고도화하고 재난안전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소개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