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남측인력 넉달만에 개성공단 체류

피해보상·사무처 구성 의견 접근… 재가동 시점엔 이견 지속<br>공동위원회 2차 회의

남북은 10일 개성공단 공동위원회 제2차 회의를 열고 기반시설 등을 점검하기 위한 우리 인력의 개성공단 현지 체류에 합의했다. 남북은 지난주 열린 공동위 제1차 회의와 4개 분과위 회의를 통해 서해 군 통신선 복구와 제도개선에 대한 공감대 형성 등의 성과를 거둔 바 있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개성공단 남북공동위 우리 측 위원장인 김기웅 통일부 남북협력지구지원단장이 공동위 2차회의에 앞서 우리 측 인원의 체류계획을 북측에 전달했으며 북측 박철수 중앙특구개발지도총국 부총국장이 이에 동의했다"며 "우리 측 인력은 오늘부터 개성공단에 체류하게 된다"고 밝혔다.

김 단장은 개성공단으로 출발하기 전 기자들과 만나 "지난주 말 서해 군 통신선이 복구되면서 공단 정상화를 위한 준비들이 차근차근 진행되고 있으며 오늘 회의에서는 기업인들이 마음 놓고 기업활동을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데 주력하겠다"고 밝히는 등 우리 측 인원 체류가 가능할 것임을 시사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이날 오전 개성공단을 방문한 우리 측 기반시설 점검팀과 관리인력 30여명은 며칠간 개성공단에 머물며 재가동 준비를 위한 시설 점검에 나설 예정이다. 우리 측 인원은 개성공단 관리위원회를 비롯해 한국전력ㆍKTㆍ수자원공사 관계자들로 구성돼 있으며 공장 재가동에 필요한 전력ㆍ통신ㆍ용수 등을 점검한다. 우리 측 인력의 개성 현지 체류는 지난 5월 우리 인력이 전원 철수한 후 넉 달여 만이다.

관련기사



이날 회의에서 남북은 개성공단의 구체적 재가동 시점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 당국자는 "오전 회의에서는 개성공단 정상화 방안과 각 분과위에서 논의 된 것 등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했다"며 "일정 부분에 대해서 공감대를 넓혔지만 구체적 합의안에 대해서는 계속 이견을 조율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 양측은 공동위 운영을 지원할 사무처의 구성 및 운영방식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합의안을 도출했으며 개성공단의 국제화 방안과 우리 기업들에 대한 북측의 피해보상에 대해서도 큰 이견이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양철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