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기아자 공기업 전환/강 부총리 발표/산은대출 출자전환

◎법정관리 금주 신청키로/아시아자 3자인수 추진정부는 기아자동차에 대해 산업은행 대출금을 출자로 전환, 공기업 형태로 조기에 정상화시키기로 했다. 이에따라 산업은행을 대표로 하는 채권금융단은 이번주 내에 법정관리를 신청, 김선홍 회장 등 현경영진을 퇴진시킨 후 법원과 협의를 거쳐 회사 내부인사로 재산보전관리인을 선임키로 했다. 정부는 이번 조치로 사실상 공기업화되는 기아자동차의 3자인수 추진 여부는 차기정부에 넘기기로 했다. 이와 함께 아시아자동차는 법정관리를 신청한 뒤 광주공장을 이전하지 않는 조건으로 조기에 3자인수를 추진키로 했다. 강경식 부총리겸 재정경제원장관은 22일 상오 과천청사 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같은 내용의 기아문제 처리방안을 확정 발표했다.<관련기사 2·3·4·5·6·39면> 강부총리는 이날 『기아사태가 장기화돼 환율불안, 증시침체, 해외차입 곤란 등 금융시장 불안이 가중될 우려가 크고 협력업체의 자금난 가중 등으로 기아자동차의 정상화 자체가 불가능해질 우려가 있어 정부투자기관인 산업은행이 대주주로서 책임지고 경영정상화에 나서도록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산업은행은 기아자동차에 대한 대출금 3천2억원을 모두 출자로 전환할 경우 30% 정도의 지분을 확보하게 돼 현재 마쓰다자동차의 지분을 포함해 모두 16.91%의 지분을 소유하고 있는 포드사에 앞서 최대주주가 된다. 정부는 채권금융단이 기아자동차에 대해 4천억원 규모의 경영정상화자금을 지원토록 요청하고 기아 하청업체에 대해서도 기아어음을 정상적으로 할인해 줄 것을 요청했다. 이어 기아그룹 채권금융단은 이날 하오 은행회관에서 회의를 열고 산업은행을 대표로 제일·조흥·상업·한일·서울·외환·신한·보람·장기신용은행 등 10개 은행이 공동으로 이번주중 기아자동차에 대한 법정관리를 신청키로 했다. 또 기아자동차와 아시아자동차에 대해 법원의 재산보전처분이 내려지면 협력업체들의 부도를 막기 위해 기아차와 아시아차가 발행한 진성어음은 각 은행이 적극 할인해주고 이른 시일 내에 기아차와 아시아차에 금융기관 공동자금관리단을 파견하기로 했다.<최창환·이형주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