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노화 억제 단백질 작동 원리 밝혀졌다

김정윤 충남대 교수 연구팀, 서투 역할 최초로 증명해내


충남대 김정윤 강우규 박사, 항노화 물질·노화질병 치료제 개발에 방법 제시

국내연구진이 노화를 억제하고 수명을 연장시키는 기능을 하는 단백질의 작동원리를 최초로 규명했다.

김정윤(사진) 충남대 교수 연구팀은 22일 써투(Sir2, Sirtuin계 단백질)가 노화 억제 기능을 하는 원리를 규명하고 칼로리 섭취를 제한해 노화를 억제할 때 써투가 하는 역할을 증명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로 그동안 써투가 어떻게 노화를 억제하는지 정확하게 규명되지 않아 제기됐던 의혹들도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연구팀은 써투가 히스톤 단백질(H4)의 16번째 라이신 잔기에 붙어 있는 아세틸기를 제거함으로써 특정 노화촉진 단백질들(세포막 전위차 조절 단백질과 라이보좀 단백질들)의 발현을 억제해 효모의 수명을 증가시킨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 써투에 인산기를 붙이는 단백질에 의해 조절된다는 것도 밝혀냈다.

이 같은 발견은 앞으로 항노화 물질과 노화 관련 질병 치료약을 개발에 중요하게 활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김정윤 충남대 교수는 “이 연구결과는 지난 10여 년 동안의 써투 단백질의 수명연장 기능에 대한 논쟁을 끝낼 수 있는 중요한 성과”라면서 “써투 단백질의 수명연장 기능 활성화를 통한 항노화 물질, 노화질병 치료제 개발에 방법을 제시한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김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