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서울경제TV] 무협 "中 소비재 시장서 선진국과 한판 승부 나서야"

'소비재 격전지 중국, 亞 문화특색 반영된 고급화 전략으로 승부해야'

우리나라의 중국 소비재 시장 점유율이 지속적으로 떨어져 새로운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1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발간한 ‘소비재 격전지 중국, 아시아 문화 특색이 반영된 고급화 전략으로 승부해야’ 제하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소비재 수입 규모는 2007년 435억달러에서 2014년 1,576억달러로 급성장했다. 하지만 이 기간 한국의 중국 소비재 시장 점유율은 6%에서 4.5%로 1.5% 포인트 떨어진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같은 기간 독일(+3%p)과 이탈리아(+1.8%p), 미국(+2.1%p) 등 선진국들의 점유율은 상승해 우리와 대조적 모습을 보였다.

관련기사



중국의 소비재 시장 규모 확대에도 우리나라의 점유율이 하락한 것은 선진국과 심화된 경쟁이 주된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무역협회는 풀이했다. 우리나라가 2007년 중국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했다가 2014년에 1위 자리를 빼앗긴 품목 48개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이 이탈리아(11개), 프랑스(4개), 기타 유럽연합(EU) 국가(5개) 등에 의해 추월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중국의 소비재 수입 수요가 확대일로에 있는 만큼 대중 소비재 수출 증대를 위해 중장기적으로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의 관세 인하 효과를 활용하고 주요 경쟁국으로 부상한 유럽·미국과 차별화하는 고급화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한·중 FTA로 주요 수출 유망품목의 관세가 철폐되기까지 10∼20년이 걸려 단기적 효과는 크지 않지만 중국이 우리나라의 경쟁국인 EU나 미국 등 선진국과 FTA를 체결하는 데에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므로 활용 여지는 충분하다는 분석이다.

정혜선 무역협회 연구원은 “중국 소비재 시장에서 우리 기업들의 실제 경쟁 상대는 선진국”이라며 “중장기적으로 한·중 FTA의 관세 인하 효과를 누리는 한편, 경쟁국인 유럽과 차별화된 아시아의 문화적 특색이 담긴 고급화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양한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