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전 조계종 종정 법전스님 영결·다비식 엄수

대한불교 조계종 제11, 12대 종정을 지낸 도림당(道林堂) 법전(法傳) 대종사의 영결·다비식이 27일 오전 경남 합천 해인사에서 종단장으로 엄수됐다.

이 자리엔 종정 진제 스님과 총무원장 자승 스님을 비롯한 스님들과 불자 등 8,000여 명이 참석했다.


새누리당 김문수 보수혁신특별위원장,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임수경 의원, 노 전 대통령 부인 권양숙 여사 등이 참석해 법전스님의 마지막 길을 배웅했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박대출 대변인 등은 영결식 이전 분향했다.

영결식은 이날 오전 11시 명종을 시작으로 삼귀의례, 영결법요(헌다, 헌향), 행장 소개, 추도 입정·영상법문, 총무원장 영결사, 종정 예하 법어 등 순으로 진행됐다.

종정 진제스님은 법어를 통해 “대종사께서는 일생일로(一生一路)의 삶이셨으니 때묻음 없는 동진(童眞)으로 출가하고 일찍이 성철노사를 친견하여 결사에 임한 뒤로는 일생토록 좌복을 여의지 않으신 눈푸른 납자(衲子)의 본분표상(本分表象)이셨다”라고 회상했다.

총무원장 자승스님은 영결사에서 “승려의 모든 위상은 수행으로부터 나온다고 경책하시던 그 말씀을 이제는 어디서 들어야 합니까 스님을 여읜 슬픔은 수미산보다 크고 향수해보다 깊기만합니다”라며 슬픔을 표현했다.


박근혜 대통령은 김종덕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대독한 조사에서 “끊임없이 발심(發心)하고 의심 없이 정진(精進)하라시던 대종사의 당부는 불교 수행자뿐 아니라 국민 모두의 마음에 영원히 기억될 것입니다”라고 애도했다.

관련기사



원로회의 의장 밀운스님의 추도사, 조계종 종회의장 성문스님의 조사, 종단·각계·신도대표 헌화 등이 이어졌다.

영결식 뒤 법전스님의 법구는 만장을 앞세운 채 다비장이 마련된 연화대로 이운됐다.

장례 행렬은 인로왕번, 명정, 삼신불번, 오방불번, 불교기, 무상게 등 순으로 이어졌고 스님과 불자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다비식이 거행됐다.

1925년 전남 함평 태생인 법전 종정은 1941년 영광 불갑사에서 사미계를, 1948년 장성 백양사 강원에서 비구계를 각각 받았다.

1949년에는 성철스님 등이 주도한 봉암사 결사에 참여했으며, 성철스님으로부터 ‘타사시구자’(拖死屍句子 무엇이 너의 송장을 끌고 왔느냐)라는 화두를 받았다.

1951년에는 통영 안정사 천제굴에서 성철스님을 은법사(恩法師 법스승)로 모시고 도림이란 법호를 받았다.

해인사 주지, 조계종 중앙총회 의장과 총무원장, 원로회의 의장 등을 역임했다.

49재는 해인사에서 봉행된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