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4차 회담도 조율 실패… 개성공단 정상화 표류

22일 5차 실무회담

개성공단 정상화를 위한 남북 간 제4차 실무회담이 17일 개성에서 열렸지만 입장차이를 좁히지 못한 채 마무리됐다. 다음 회담은 오는 22일 개성에서 열릴 예정이지만 양측의 이견이 커 '회담 무용론'까지 나오는 상황이다.

개성공단 종합지원센터에서 열린 4차 실무회담에서 남북 양측은 이전 회담과 같은 주장을 되풀이했다. 우리 측 수석대표인 김기웅 남북협력지구지원단장은 회담 직후 가진 브리핑에서 "우리 측은 재발방지를 보장하고 개성공단을 발전적으로 정상화시킬 수 있는 실질적 방안이 합의서에 담겨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며 "하지만 북한은 (개성공단 우선 가동이라는) 자신들의 입장을 되풀이하는 등 양측의 입장에 큰 차이가 있었다"고 밝혔다. 이번 회담에서 북한은 수정안을 제시했지만 기존의 안과 큰 차이가 없었으며 우리 측이 중요시 여기는 재발방지 보장 조치에서도 기존과 같은 입장을 고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이전과 같은 모양새가 이번 회담에서도 연출돼 향후 있을 제5차 회담에서도 진전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정부의 한 소식통은 "개성공단 가동중단이 100일을 넘어가면서 다급한 쪽은 외화 수익 창구가 막힌 북한이지만 입장을 바꿀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며 "우리 정부가 남북신뢰에 기반한 개성공단 운영이라는 방침을 고수하고 있는 이상 앞으로도 이견을 좁히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양측은 악수도 하지 않고 시작했던 직전 회담과 달리 포토타임을 가지는 등 이번 회담에서는 다소 누그러진 분위기를 연출했다. 하지만 굳은 표정으로 사진촬영에 임하고 대화의 주도권을 잡기 위한 말이 오가는 등 기싸움은 여전했다.

관련기사



북측 수석대표인 박철수 중앙특구개발지도총국 부총국장은 이날 회담 모두발언에서 "오늘 날씨가 괜찮은데 좋은 결과가 나올 것 같으냐"고 묻자 김 단장은 "비바람이 치고 폭우가 와도 끄떡없이 흔들리지 않는 집을 지었으면 좋겠다"며 응답했다. 이에 대해 박 부총국장은 "안개까지 걷히면 먼 산의 정점이 보일 것 같다"고 말했으며 우리 측은 "좋은 말씀"이라고 응수했다. 이 같은 기싸움은 이후 회담에서도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이날 개성공단 입주기업인 227명 등 총 301명은 개성공단을 방문해 원부자재ㆍ완제품ㆍ설비 등을 싣고 귀환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