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강만수 '금융 청사진' 현실화하나

산은금융, 우리금융 입찰 참여


산은금융지주가 우리금융지주 매각 입찰에 참여하기로 했다. 정부가 대주주인 우리금융과 산은금융이 합쳐지면 자산 500조원의 메가뱅크(초대형은행)으로 거듭나게 된다. 5일 금융계에 따르면 최근 강만수 산은금융 회장 겸 산업은행장은 재매각이 추진될 우리금융 입찰에 참여하기로 방침을 정하고 이러한 계획을 청와대에 보고했다. 산은금융은 지난달 확대간부회의에서도 민영화 방안을 논의하는 등 강 회장 취임 이후 우리금융 인수 추진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마련해왔다. 금융당국도 올 초 김석동 금융위원장 취임 이후 우리금융과 산은금융을 합병 시나리오를 적극 검토하고 있다. 가장 현실적인 대안은 현행 금융지주사법 시행령을 완화해 산은금융이 우리금융의 지분을 쉽게 인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비상장사인 산은금융이 상장사인 우리금융을 인수하기 위해서는 회사 가치 및 합병 비율을 산정해야 하지만 현실적으로 적절한 가치를 산정하는 게 어렵다. 따라서 산은금융이 직접 지분을 인수할 수 있게끔 지분 소유제를 완화해 인수의 물꼬를 터준다는 것이다. 금융당국의 한 고위관계자는 "금융지주사가 다른 금융지주사를 인수하기 위해서는 지분의 95%를 소유해야 하는데 이를 50%까지 낮추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이 이 같은 내용을 적용하면 산은금융 외에 KB금융 등 다른 유력 후보군의 입찰 참여가 좀 더 쉬워질 것으로 전망된다. 강 회장은 기획재정부 장관 시절부터 '메가뱅크' 추진에 강한 애착을 갖고 있다. 따라서 현 정권의 최측근 인사인 강 회장이 금융당국과 산은 민영화와 메가뱅크 문제 등을 두고 상당 부분 의견을 조율한 게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특히 김 위원장이 2ㆍ4분기 안에는 우리금융 민영화에 대한 로드맵을 내놓겠다고 이미 공언한 터라 산은금융의 우리금융 인수가 급물살을 탈 가능성도 높다. 하지만 특혜 시비에 공적자금 회수의 어려움 등 산은금융의 우리금융 인수에 대한 반대 여론이 적지 않은 점은 정부나 산은금융 모두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정치적인 변수에 저축은행 사태를 비롯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문제 등이 금융당국의 발목을 잡고 있어 구체적인 '액션 플랜'이 도출될지도 아직까지는 불확실하다. 금융계의 한 관계자는 "누군가 확고하게 의사 결정을 내려야 하지만 쉽지 않아 보인다"며 "산은금융과 우리금융 합병을 통한 경쟁력 제고 방안 정도가 제시될 수는 있지만 사공도 많고 보는 눈도 많아 금융당국이 결정을 내리기에는 부담이 큰 상황"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