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트 스포츠를 이끄는 대한체육회와 생활 스포츠를 주관하는 국민생활체육회는 지난해 11월 통합을 합의했다. 두 분야를 하나로 묶어 장기적·유기적 발전을 모색하겠다는 취지에서다. 이에 따라 통합을 명시한 국민체육진흥법 개정안이 통과돼 지난 3월27일 공포됐다.
공포일로부터 1년까지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의 인가를 받아 통합체육회 설립을 완료해야 한다. 또 당장 공포 3개월(6월27일) 이전에는 15인 이내의 통합준비위원회를 구성해야 한다.
하지만 첫걸음인 통합준비위 구성부터 진통을 겪고 있다. 걸림돌은 인원수. 지난해 11월6일 김정행 대한체육회장과 서상기 당시 국민생활체육회장(새누리당 의원)은 통합체육회를 설립하는 데에 뜻을 모으고 김종 문체부 2차관과 안민석 새정치민주연합 체육특별위원장을 포함한 4명이 합의문에 공식 서명했다. 이후 양 단체 회장 등은 논의를 거쳐 3월16일 '통합준비위를 대한체육회 추천 3명, 국민생활체육회 추천 3명, 문체부 추천 3명, 국회 교육문화위원 추천 2명 등 총 11명으로 구성한다'는 안에 합의했다.
그러나 지난달 28일 대한체육회 측 통합추진위원장인 이기흥 체육회 부회장이 구성안에 이의를 제기하면서 체육회 내부 갈등이 표면화됐다. 이기흥 위원장은 정부와 정치권 인사를 배제하고 대한체육회 7명, 국민생활체육회 7명으로 구성할 것을 주장했다. 그러나 이 안은 지난 9일 열린 임시 대의원총회에서 일부 대의원이 반대해 정식 안건(만장일치여야 채택)으로 채택되지 못했다. 대한체육회가 자체 통합추진안 도출에도 실패한 것.
양대 체육 단체 통합에 대해서는 반대 의견도 있는 게 사실이다. 문제는 한국 스포츠의 장래를 생각해 일단 합의를 이룬 사안을 두고 태도를 바꿈으로써 본질이 흐려지고 있다는 점이다. 여기에는 통합체육회 초대 회장 인선 등을 둘러싼 불신과 같은 정치적 계산이 깔린 것으로 알려졌다.
법에 따라 내년 3월27일까지인 통합 시기를 지키는 것은 기본이겠지만 더 중요한 문제는 통합 이전에 준비위에서 해야 할 일이 산적해 있다는 사실이다. 단체 설립을 위한 정관 작성, 시도 체육회와 종목별 경기단체 등 하부 조직 통합을 위한 제규정 정비, 통합회장 선거 문제 등이 그것이다. 통합이 예상보다 늦어질 경우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준비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준비위 산하에 분야별 전문위원회를 둘 수 있는 조항이 있는 만큼 한국 체육의 전환점이 될 단체 통합이 일정대로 이뤄지도록 일단 준비위를 구성한 뒤 다양한 목소리를 조율해야 한다는 주장에 설득력이 있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