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흡연율은 줄고 있지만 선진국보다 더 피운다

성인남성 흡연율 39% OECD 평균보다 높아


흡연율이 감소하고 있지만 주요 선진국과 비교하면 여전히 월등하게 높게 나타났다. 보건복지부가 20일 발표한 '2011년 상반기 흡연실태조사결과'에 따르면 성인 남성 흡연율은 39%를 기록했다. 이번 조사는 복지부가 전문 조사연구기관인 '리스피아르'에 의뢰해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3,000명을 대상으로 시행됐다. 성인 남성 흡연율 39%는 지난해 상반기의 42.6%보다 3.6%포인트, 하반기의 39.6%에서 0.6%포인트 감소한 수치다. 복지부는 "성인 남성 흡연율은 지난해 하반기 처음으로 30%대로 떨어지는 등 전반적으로 하락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남성 흡연율이 감소했다고는 하지만 지난 2009년 기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성인 남성 평균 흡연율이 28.4%에 그친 점을 고려하면 여전히 높은 편이다. 남성 흡연율은 30대가 51.2%로 가장 높았고 40대 42.3%, 20대 40.5%, 50대 34.1%, 60대 20.1%의 순으로 나타났다. 여성은 20대가 3.6%로 흡연율이 가장 높았으며 60대 2.1%, 50대 1.6%, 40대 1.2% 등으로 성인 여성 전체 평균 흡연율은 1.8%로 지난해 상반기 2.8%보다 1%포인트 줄었다. 양동교 복지부 건강증진과장은 "담뱃값 인상 가능성에 대한 사회적 관심, 금연구역 확대 등 법적 규제 강화, 각 지방자치단체의 금연조례 지정 등 사회 전반적 금연분위기 조성이 지속적인 흡연율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최초 흡연 연령은 20.6세로 지난해 하반기(21.1세)에 비해 낮아졌고 규칙적 흡연 개시 연령도 지난해 하반기 21.6세에서 21.2세로 어려졌다. 현재 평균 약 2,500원 수준인 담배가격에 대해서는 조사 대상의 41%가 '싸다'고 답했으며 적정 담배 가격은 평균 8,599원으로 나타났다. 효과적인 금연정책으로는 '금연구역 확대 및 단속강화'가 27.3%로 가장 많았고 '담배가격 인상(21.4%)' 'TV와 라디오를 통한 교육과 홍보 강화(19.4%)' 등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