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IT 컨버전스 등 非통신 매출비중 대폭 확대



KT가 신사업 추진과 해외진출을 통해 ‘새 KT’건설에 도전한다. 이석채(사진) KT 회장은 26일 서울 광화문 올레스퀘어에서 개최한 KT-KTF 통합2주년 기자간담회에서 신사업과 해외 진출을 새로운 승부수로 빼들었다. KT는 그룹전체 매출에서 금융 등 IT 컨버전스ㆍ콘텐츠ㆍ해외사업 등 비통신사업이 차지하는 매출 비중을 지난해 27%에서 오는 2015년 45%까지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인수 작업이 곧 완료될 BC카드와 금융IT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한다. 카드사와 은행ㆍ가맹점 등을 대상으로 카드발급ㆍ거래승인ㆍ정산 등의 결제 과정을 효율화하기 위한 금융결제 플랫폼을 출시할 계획이다. KT그룹은 또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사업을 강화, 기업 대상의 매출을 늘리는 데 주력할 방침이다. 인터넷 공간에서 업무용 소프트웨어와 저장 공간을 빌려 쓸 수 있게 해주는 클라우드 컴퓨팅은 현재 전세계적으로 모바일 오피스의 필수 요소로 떠오르고 있다. 콘텐츠 부문에서는 KT스카이라이프ㆍKTHㆍ싸이더스FNH 등과 함께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 31개에 달하는 계열사를 활용하는 본격적인 그룹 경영도 실시한다. 계열사와 함께 스마트 홈ㆍ스마트 시티 등 1,000억원 이상의 매출을 올릴 수 있는 신규 사업아이템을 10개 이상 추진할 계획이다. 이 회장은 “KT는 재벌 그룹처럼 몸집만 불리는 그룹경영은 않을 것”이라면서 무분별한 확장경영에 대한 선을 그었다. BC카드나 금호렌터카처럼 IT와 시너지 효과가 분명히 예상되는 한에서 그룹경영을 하겠다는 설명이다. 해외 시장진출은 자금력이나 기술력을 갖춘 글로벌 사업자나 그룹사, 협력사 등과 함께 진행할 계획이다. 현재 아프리카 이동통신 업체 지분 매입과 유럽 통신사와의 클라우드 컴퓨팅 사업 협력이 논의 중이다. KT그룹은 이 같은 계획을 통해 오는 2015년 IT서비스ㆍ미디어 분야 매출을 6조원, 금융ㆍ차량ㆍ보안 등 컨버전스 서비스는 8조원, 글로벌 매출은 4조원으로 성장시킨다는 포부다. 이 경우 KT는 2015년 그룹 매출이 통신분야 매출 22조원을 포함해 40조원을 달성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이 회장은 이날 간담회에서 통신비 인하 여론에 대해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그는 현재 IT 산업이 빠르게 변하고 있다며 “새로운 산업을 일으키기 위해 자금을 투입해야 할 기회”라고 말했다. 4세대(4G) 통신망 구축 등에 투자해야 하는 시점에 통신비 인하 압박이 성장의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뜻이다. 이상훈 KT 기업고객부문 사장도 “(무선인터넷에 대한)기대치가 점점 높아지면서 투자비가 엄청나게 증가할 것”이라며 “이동통신사들이 기가 막히게 사업을 해서 이익을 내더라도 그 때 가선 초과이익이니까 또 통신요금을 낮추라고 하지 않겠느냐”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