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례대표 선출 과정에서의 부정선거와 관련해 통합진보당 지도부들은 총사퇴하는 쪽으로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하지만 부정선거로 당선된 비례대표들의 거취 문제를 두고서는 당내 논란이 더욱 극심하다. 딱 부러진 해법마련도 쉽지 않아 후폭풍이 가라앉을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3일 국회에서 진행된 통합진보당 대표단회의에서 이정희 공동대표는 "이번 부정투표는 대단히 심각한 잘못"이라며 "당 재기를 위해 가장 무거운 정치적ㆍ도의적 책임을 지겠다"고 말했다. 유시민ㆍ심상정 공동대표 역시 "저도 책임을 면하기 어렵다(유시민)" "도의적 책임은 당연하다(심상정)"고 밝혀 지도부 동반 사퇴에 무게를 뒀다.
이 경우 당을 곧바로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해야 하는데 이를 누가 주도해 끌고 갈지를 두고 구심점 역할을 할 만한 인물이 딱히 없다는 데 고민이 있다. 이 때문에 사건의 핵심 주도 세력으로 알려진 당권파(옛 민주노동당 계열 주류파)의 얼굴 이 대표가 사퇴하고 나머지가 다음달 2일 신임 당 대표 경선 때까지 당을 운영하거나 동반 총사퇴 시기를 늦추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지도부 총사퇴 정도로는 근본적인 혁신이 이뤄질 수 없다는 지적이다. 어차피 임기가 한달밖에 남지 않은 상황이어서 지도부 총사퇴가 갖는 의미가 크지 않기 때문이다.
자연스레 논의 초점은 부정선거로 당선된 비례대표들의 거취 문제로 옮겨지는데 이날 대표단회의는 5시간여에 이르는 회의를 통해서도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4일 열리는 전국운영위원회에서 사태수습 논의를 이어갈 예정이다.
비례대표 처리의 경우 더욱 복잡하게 얽혀 있어 오히려 이 문제를 두고 계파 갈등이 폭발할 가능성이 높다.
우선 비당권파(옛 국민참여당+진보신당 탈당파)는 당권파 측 비례대표인 윤금순(1번), 이석기(2번), 김재연(3번) 당선자의 사퇴를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방안은 당권파의 거센 반발을 불러일으키고 있고 설사 사퇴한다 하더라도 대표 자리를 물려받게 될 후순위 후보들 역시 부정선거 논란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이 때문에 이번 부정선거로 순위가 정해진 이른바 '경쟁형 후보(1~3번, 7~11번, 13번, 15~17번, 19~20번)'가 총사퇴하고 선거에 상관없이 전략 배치된 후보(4ㆍ5ㆍ6번-기 당선, 12ㆍ14ㆍ18번)들이 비례대표직을 승계하는 방안도 검토된다. 하지만 이번 사건의 책임을 져야 할 유 대표(12번)가 포함돼 있다는 점에서 거센 시비에 휩싸일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