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주성엔지니어링 박막태양전지 특허출원 1위

유망 신재생에너지인 박막(Thin Film) 태양전지의 특허출원이 크게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업들이 출원을 이끌면서 고효율 관련출원이 잇따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11일 특허청에 따르면 박막 태양전지기술 관련 특허출원(실용신안 포함)은 2005년 이후 지난해까지 416건으로 해를 거듭할수록 느는 추세다. 2005년 12건, 2006년 17건, 2007년 35건이었던 게 2008년 93건, 2009년 137건, 2010년 122건으로 증가했다. 주요 출원인은 주성엔지니어링 70건(17%), 엘지디스플레이 43건(10%), 엘지전자 36건(9%), 효성 17건(4%) 등으로 나타났다. 국내 기업들의 박막태양전지 관련연구개발이 활발한 것으로 입증됐다. 주목할 점은 CIGS(Copper-Indium-Gallium-Selenium)기술 등을 활용, 박막태양전지의 ‘고효율’을 꾀한 특허출원이 2006년 4건, 2007년 6건, 2008년 13건, 2009년 26건, 2010년 26건으로 최근 5년간 늘고 있다. 특허청은 우리나라 태양광발전기술력은 후발주자였으나 최근 특허출원흐름으로 볼 때 박막태양전지 상용화 생산기술 확보는 물론 ‘고효율’ 관련 원천기술을 앞서 잡을 것으로 보고 있다. 박막태양전지기술 향상은 지구온난화에 따른 환경파괴ㆍ화석자원 고갈ㆍ고유가 문제 등을 풀 수 있는 신재생에너지원 개발에 청신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특허청 관계자는 “이는 정부가 ‘제9차 녹색성장보고대회’ 때 ‘신재생에너지 발전전략’을 통해 2015년 태양광과 풍력산업의 세계점유율 15% 진입을 목표로 40조원을 투자할 것이란 계획을 밝힌 데 따른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