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노사 갈등 한진重 직장폐쇄

다대포·울산공장등 3곳…영도조선소 공권력 투입 요청<br>勞, 크레인 점거·무기한 농성등 투쟁수위 높여

'대한민국 조선1번지'로 불리는 한진중공업이 직장을 폐쇄했다. 경쟁력 하락으로 지난 2년간 일감을 수주하지 못해 대규모 정리해고에 들어간 뒤 노사가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가운데 사측이 직장폐쇄 조치를 취한 것이다. 한진중은 14일 부산 영도조선소, 다대포공장, 울산공장 등 세 곳을 직장폐쇄하기로 하고 부산지방고용노동청과 부산지방노동위원회, 부산 영도구청ㆍ사하구청, 울산 남구청에 직장폐쇄 신고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한진중은 이날부터 금속노조 한진중지회 생산직 조합원 전원과 제3자가 직장폐쇄를 신고한 시설 세 곳에 출입하는 것을 금지했다. 노조 전임자에 대해서는 오전8시~오후5시 노조 사무실에 한해 출입할 수 있도록 조치하고 노조 상급단체 간부는 교섭 당일에만 일시적으로 출입을 허용할 방침이다. 이 회사의 한 관계자는 "협력업체와 조업 희망 조합원의 정상적인 업무수행과 회사의 시설보호 등을 위해 불가피하게 (직장폐쇄) 조치했다"며 "노조가 지난해 141일 동안 파업했고 지난해 12월20일 총파업에 들어간데다 회사와 무관한 제3자가 크레인을 점거하는 등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현저히 높아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업무 복귀 및 교육과정에 참가하려는 조업희망자에 대해 출근저지 및 협박으로 방해하고 있으며 영도조선소 사업장 내 생활관을 점거한 노조원들이 24시간 기거하면서 불법행위를 계속해 정상적인 조업이 불가능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사측은 공권력 투입을 요청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다른 사측의 한 관계자는 "전면 파업으로 모든 생산활동은 외주 및 협력 업체에 의존하고 있으며 생산비용은 급격히 증가해 손실을 감내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영도조선소의 생존을 바란다면 모든 불법행위를 즉시 중단하고 현장에 복귀해 본연의 임무를 다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노조는 "어느 정도 예상은 했지만 대외적인 관계, 사태 악화 등을 고려해 직장폐쇄는 하지 않을 거라고 봤는데 이렇게 기습적으로 조치한 것은 말도 안 된다"고 반발했다. 노조는 이날 긴급 대책회의를 열고 영도조선소 내 생활관에 모여 있는 노조원 600여명을 중심으로 무기한 농성을 이어가기로 했다. 노조의 한 관계자는 "직장폐쇄 조치로 이번 사태의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며 "노조원들은 더욱 똘똘 뭉쳐 투쟁을 이어나가고 외부 투쟁을 병행하는 등 투쟁 수위를 한 단계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앞서 이날 오전5시40분께 채길용 금속노조 부산양산지부 한진중 지회장과 문철상 금속노조 부산양산지부장이 영도조선소 내 CT-17 타워크레인(높이 45m)에 올라가 고공시위에 돌입했다. 채 지회장은 "사측이 정리해고를 철회할 때까지 크레인에서 내려오지 않겠다"고 말했다. 김진숙 민주노총 부산지역본부 지도위원은 지난 1월6일 정리해고 철회를 주장하며 영도조선소 3도크의 크레인에 올라가 지금까지 고공시위를 벌이고 있다. 한진중은 마지막 희망퇴직 시한을 이날 자정까지로 연장했다. 15일 오전 남은 해고 대상 190명(총 400명 가운데 희망퇴직자 210명 신청)에서 추가 희망퇴직 신청자를 제외한 인원에 대해서는 '경영상의 이유'로 해고를 강행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