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뿌리중소기업 10곳 중 6곳 중국 기술 위협 절감

뿌리산업을 일구는 중소기업 10곳 중 6곳은 중국의 기술력이 향후 10년 이내 우리나라를 따라 잡을 것이라며 깊은 위기감을 드러냈다.

19일 중소기업중앙회가 뿌리기업 200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뿌리산업 규제·애로 실태조사’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59.0%가 “중국 뿌리산업 기술력이 국내 기술력을 향후 10년 내 따라잡을 것”이라고 내다 봤으며, “이미 중국의 기술력이 앞서고 있다”는 응답도 6.5%로 집계됐다. 뿌리산업은 주물, 금형, 단조, 용접, 금속열처리, 도금 등으로 국내 제조업의 근간인 뿌리업종에서도 중국의 기술경쟁력 추격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갖고 있는 것이다.


국내 뿌리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근로환경 개선을 통한 인력수급 원활화(34.0%), 원자재 및 전기요금 절감을 통한 원가혁신(26.0%) 등 정책적 접근과 지원이 뒤따라야 한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한편 뿌리업종 기업의 제조원가에서 원재료를 제외한 전기요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평균 20.3%로 나타났는데, 전기요금이 10% 인상될 경우 영업이익이 2~4% 감소한다(27.5%)는 의견과 8% 이상 감소한다(19%)는 응답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전력 다소비 업종인 뿌리업종의 전기요금 부담 해소를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안은 ‘산업용 전기요금의 업종별 차별화’를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이 50.5%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현준 창조경제부장은 “뿌리산업은 제품 생산의 핵심 기반산업으로서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으나, 대표적인 에너지다소비 업종으로 꼽힌다”며 “최근 논의되고 있는 전기요금체계 개편이 현실화된다면 영세 뿌리기업에 부담이 될 것이므로, 뿌리산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뿌리산업 맞춤 에너지 정책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한편, 중기중앙회는 6대 뿌리업종 협동조합 및 뿌리중소기업, 학계, 정부, 유관기관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뿌리산업특별위원회’(공동위원장 신정기, 김기찬)를 통해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깊이 있게 논의한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